한국의 Internet Pioneer

전길남 (KAIST 전산학과 교수)

인터뷰- 박정우(서울대 언론정보학과)
2000.9.19 카이스트에서

 

 

 


 

 

[전길남 교수 소개]

1943년 일본출생으로 오사카 대학 전자공학과 졸업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UCLA에서 시스템 엔지니어링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록웰사에서 일하다 1979년 36살에 귀국했다. 귀국 후 한국전자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일하다 82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학부 전산학과 교수로 오늘날까지 수많은 제자들을 배출해 내었다. 아이넷의 허진호 사장, 솔빛 조선미디어의 박현재 사장, 디지털 조선일보의 정철 소장등등 전길남 박사가 배출해 낸 제자들은 정보통신 산업계에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 또한 ARPANET의 산실인 UCLA에서 있었던 것이 인연이 되어 한국의 인터넷 발전을 주도해 오고 있다. 한국의 인터넷에 관한 역사를 쓰자면 전길남 교수의 이름이 맨 앞에 있어야 할 정도로 한국의 인터넷 발전에 끼친 공헌은 지대하다. .kr 의 manager로서 앞으로 통일 도메인의 확보와 운영을 준비해야 한다고 하는 전길남 교수는 한국이 전 세계 인터넷 공동체의 발전에 어떠한 기여를 해왔고 앞으로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질문과 탐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참고로 전길남 교수는 등산과 윈드서핑, 수영 등이 취미로 과거 세계 3대 빙벽을 정복했던 화려한(?) 등산 경력을 지니고 있다.

 

 

 

69년 이후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한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이행과 e-business의 형성이 현재 전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선생님께서는 ARPANET 이후 인터넷에 관여하신 주요 멤버이신데 초기 인터넷을 시작했을 때 이러한 발전을 예상하셨습니까?

    이렇게 될거라고는 생각안했지, 우리가 만들 것은 연구개발,연구 교육용이었고 산업쪽에서 쓰는건 우리거 아니어서 우리거 그대로 쓸거라곤 생각안했지, 쇼핑몰까지 될줄은 몰랐어. 그냥 이렇게 되어버린거지,

인터넷2는 어떤건가요?

    인터넷2는 지금 하고 있어요, 인터넷2는 인터넷의 일부로 원래 내 본업은 인터넷2입니다.
    96년 2월에 시작했어요, 아시아가 먼저 APAN(Asia-Pacific Advanced Network)에서 시작했고, 원래 APAN이 내 본업이고 거기 이사장이이야. 사실 ICANN 보다는 내가 이쪽에서 더 유명한데, 인터넷2는 캐나다는 아시아와 거의 같이 시작했고 미국은 우리보다 조금 늦게 시작했어요, 미국은 96년 여름에 시작했어, 캐나다의 CA*NET 유럽은 TEN-34지, 인터넷APAN쪽으로 접속하면 굉장히 잘 돌아가요, 미국하고 대화하는 것도 하나 문제없어요, 스탠포드 대학 강의도 들을 수 있어요, 멤버는 연구하는 대학교만 멤버에요, 아시아 전체 멤버가 50개 정도 돼요, 연구용으로만 쓰는 거니까,

인터넷 발전에서 RPC(Request For Comments)란 문서가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일단 RFC에 대한 설명과 이 문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 그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시죠.

    누구나 만들 수 있는 거고 IANA쪽과 접촉하면 만들 수 있어요. 그 쪽에 RFC editor가 있어요. 한국에서는 첫번째 RFC가 한글 이메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었지, 실제 관계한 것은 과기대 학부생이 햇어요, 우리 연구실에 있는 사람과 같이, 박현제(현재 KrNIC의 NNC PAC의장)가  내 이름하고 같이 해서 그쪽에 보내서 검토시키고 그래서 만들었지,
    과정은 조금 특이하지, 굉장히 효율적으로 만들어요, 제일 처음에는 UCLA의 존 포스텔이 그냥 노트에 쓰기 시작했어요, 처음에 존 포스텔이 노트에 메모한 것을 그냥 RFC-1이라고  했지, 스탠다드란 말을 쓸 수도 있었는데 그렇게 안한건 ARPANET이란 프로젝트가 굉장히 이상하게 시작해서 그래. 그 프로젝트가 대학원생들이 시작한 거야.  교수나 연구한 사람들중에 네트워크에 대해 제대로 아는 사람이 없었던거야. 그래서 국방성이 빈 서프나 존포스텔이나 이런 사람한테 맡겨야 되는데 국방성 프로젝트가 대학원생한테 가는 것은 조금 이상하잖아, 그래서 UCLA에 나이 많은 마음씨 좋은 교수 이름 빌려서 한거야. 네트워킹하고 아무런 관계없는 교수야. 그래서 시작했는데 대학원생이 스탠다드란 말을 쓰기에는 처음에 너무 강력하잖아. 그래서 RFC 라고 한거야,
    RFC 만드는 거 어려운 건데, 지금부터 삼십년 간 미국이 60%이상 만들었고 그래서 인터넷이 미국 중심으로 가는거지.  미국이 control 하고 있다고 하는데 내가 보기에 미국은 contribution쪽이 더 많아. 그거 한다고 처음에 돈 주는 것도 아닌데 자발적이잖아. 아시아지역은 5%도 안되지, 한국은 아까 85년도에 한 한글이메일 하나가 유일해. 그 다음에 없어. 그래서는 안된다라는 거지. 그래도 세계 인터넷 인구의 5%가 한국이라고 하면 5%만큼은 기여를 해야지, 나쁘게 말하면 욕만 하는 거고 정직하게 말하면 기술이 못 따라가는 거지. 사실 내 꿈이 그 문서 하나 만드는 건데 그래서 젊은 선생한테 대학원생들한테 하라고 한지 15년 되는데 아직 안돼. 어려운가 봐, 일본은 조금은 되는거 같애, 일본과 호주는 세계 전체의 2%정도는 만들어,

ICANN에 대한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 미국연방정부 및 상무성과 ICANN, NSI와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겁니까?

    IANA는 작년에 ICANN으로 합병되었어. ICANN서 실제 도메인 네임, 아이피 어드레스, RFC 문서 챙기는 그런 부서가 되었어. ICANN은 기본적으로 연방정부와 추가로 NSI와 하는 프로젝트라고 보면 돼. NSI는 루트서버를 관리하니까 프로젝트에 참여한거고. 도메인 네임, 아이피 어드레스 관리들을 ICANN에서 할 수 있는가를 보는 프로젝트이지. 미상무성은 관찰 하겠다. 루트서버의 copy A가 NSI안에 있어. 소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98년 10/1일부터 2년간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 프로젝트가 연장되었는데 1년 연장이라는 것이 만료가 올해 9월까지 해결을 했다면 이 문서는 계속 연장되는 것인지 아니면 그 권리를 이제 ICANN에게 주는 것인지 궁금한데요.

    기본적으로 연장은 한번밖에 안해요, 물론 자잘한 것들은 또 할테지만.
    원래 2년이라는 것은 무리였어요, 그때 분위기에서는 2년 이상 계약하는 것이 별로 안 좋은 거였어요. ICANN 안에서도 2년 안은 안 된다라고 했지만 무리라고 하더라도 하기로 했지, 3년이라고 하면 민간에 이양할 의지가 없다라고 또 욕먹을 테니까.
    이건 굉장히 중요한 건데 copy A 루트서버의 운영에 관한 부분은 ICANN에 넘기겠다라는 건데 소유권은 넘긴다라는 말은 없어요. 그거 한번 정확히 봐요. 이건 핵심이슈에요, 애매하기는 애매한데, 운영은 넘기기로 했지만 소유권은 넘긴단 말 없어요, ‘.’을 누가 소유하는 것인가, 넘긴다라고 하면 미연방정부나 상무성이 소유한다는 건데, 연방정부 내에서도 상무성이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 안하지,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누가 어떻게 아는데, 계약서를 만들려면 소유자가 있어야 하잖아, 그런데 지금 그것을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증명할 수가 없지, 그래서 나는 그냥 애매하게 넘어 가자라는 거지, NSI는 아니고 미국방성은 ARPANET 했으니까 소유권을 주장할 수도 있지만 ARPANET을 인터넷으로 전환하면서 NSI에 넘겼고, 그 다음부터는 어디로 갔다라는 이야기도 없고.. 소유권이 어려운 문제인데  막연하게 미연방정부가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 하는게 안전하지 않을까 해, 왜냐하면 루트서버의 copy A가 미국 밖으로 못 나가게 할 수 있으니까.


선생님께서 평소에 항상 ICANN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데 ICANN에 대한 여러가지  비판에도 불구하고 ICANN이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거 간단한 거야, ICANN이 없다면 미연방정부 관료하고 접촉해야 돼. 굉장히 근본적인 수준에서 .kr관련해서 미연방정부하고 접촉하고 싶어요, 아니면 국제기구에서 논의하고 싶어요? 간단한 거에요. 즉, ICANN 설립의 가장 큰 의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인터넷에서 미국의 독점력을 제어할 수 있다라는 차원에서 찾아볼 수 있는 거지요. 도메인 네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국제기구에서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는거지. 전에는 상무성, 연방정부, 국방성에서 했거든.

ICANN이 국제기구라면 기존의 국제기구는 국가를 중심으로 하는데 ICANN은 그런거 같지는 않고, 개인을 베이스로 하는 거 같습니다. 그러나 또 국가적인 차원을 생각해야만 하는데 예전에는 다수결의 원칙이 국가를 기준으로 했지만 현재 ICANN은 개인적인 기여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가, 국가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와 개인을 기준으로 하는 조직은 차이가 있지 않을까 하는데요.

    여러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우선 나는 점차 국가는 없어지지 않을까하고 생각해요, 원래 국가라는 것은 대단히 자본주의적인 현상이야, 봉건시대에는 국경이란게 없었어, 가장 대표적인게 중국이지, 중국은 국경이 없었다고. 앞으로 정보사회로 가면서 기존의 국가개념을 넘어서는 조직형태가 몇 가지 있다고 해. ICANN 같은 비영리 회사(non profit corporation) 나 아니면 그냥 서로 완전히 수평적으로 합의해낼 수 있는 조직형태 그리고 association과 같은 조직 형태가 추세가 될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지. 앞으로 ICANN과 같은 회사형태의 조직형태가 모델이 될 것이라고. 그런데 문제가 있는 것이 이런 회사모델은 강제력이 없어. 예를 들면 현재 ccTLD는 예산문제에서 ICANN에 기여를 해야 한다고 하지만 그거 안낸다고 해서 어떻게 제재할 도리가 없거든. 이것을 어떻게 할 꺼에요 라는 것은 조금 더 고민할 문제이지.  규칙을 어떻게 만들고 그것의 집행을 어떻게 하느냐의 문제에 대해 조금 더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지.    

점차 국가가 없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기는 하지만 아직 한국의 경우 통일이라는 민족사적 과제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통일 도메인의 확보에 대한 이야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그거 내가 먼저 한 이야기인데. 해야지. 그렇게 어렵다고 생각안해요. 절차를 밟아서 하면 되는건데 문제는 우리가 그거 하는 요령을 알고 있는가라는 거지. 그거 확보를 위해 논리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해. 절차는 어렵지 않다고 생각해요. 그럼 ccTLD를 2개 가질 수 있는가가 중요한데, 선진국만 2개를 가지고 있지. 한국이 선진국답게 행동해야 하는 문제 아닌가, 난 이렇게 생각하는데.  

한글 도메인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선생님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우선 그냥 한번 생각해 보는 거지. 왜 영어로만 되나. 우리 글로도 하면 그거 좋겠다. 그래서 시작하는 거지. 도메인이란거 굉장히 중요한 거에요. 지금 우리는 100여년 전에 만들어진 주소를 아직도 쓰고 있잖아. 따라서 도메인을 만들 때는 적어도 지금부터 50년은 앞을 보고 만들어야 하지. 이렇게 한번 생각해봐. “홍길동.대학교.서울대학교”가 편하겠어요? 아니면 “홍길동.서울대학교” 이게 편하겠어요? 난 사람들이 후자를 좋아할 것 같은데.. 이름이 같다면 옵션을 주면 되고 가령, 학생,교수 이런 식으로 말이야.

앞으로 한국의 인터넷 정책 방향에 대해 선생님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어..가장 중요한 것은 at large membership이지. 이거 어떻게 민주적 모델로 만들 수 있는가, 즉 local Internet comminity를 위한 정책결정 과정을 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거지.  누구도 해보지 못 한 거니까. 앞으로 이것에 대한 연구가 정말 많이 필요해요. 우리 나라가 이거 잘하면 참 좋겠다는 게 내 생각이에요. 그럼 우리 나라가 전 세계 인터넷 공동체에 대해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긴 시간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