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가해자라는 버튼

!@#… ‘잠재적 가해자’라는 말에서 버튼이 눌리신 분들과 나눠보고 싶은 이야기 한 토막. 노동조건이나 문화적 대우는 물론이고 이번 비극적 사건으로 불 붙었듯 치안조차 성차별이 심하여 모두 머리를 맞대고 대처를 논해야할 마당에, 비교적 사소한 레토릭 하나로 연대 결렬을 선포하는 것은 애석한 일이라서 약간의 교통정리.

대처해야할 문제 지점을 대충 건조하게 접근하자면 이렇다. 가해가 이뤄졌을 때 행위에 상응하는 적발/처벌/재교육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치가, 성별에 따라서 큰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런 기대치를 뒷받침해주는 것은 범죄 사건의 성비 같은 양적 측면부터, 여성이 수동적(종종, “성적 대상물” 수준의) 역할인 것을 당연시하는 주류문화 같은 질적 측면까지 다양하다. 그렇기에 우리 사회의 현재 치안 상태가 여성에게 더 위험하다는 것은, 양성 모두 꽤 널리 인식하고 있다. 그것을 운동 구호로 내놓든, 구체적 대책 토론으로 펼치든, “젊은 여자가 위험하게 밤늦게 싸돌아다니고 말야” 같은 성차별 표현으로 내뱉든 말이다. 즉 우리는 현실 인식으로 이미 여성을 ‘잠재적 피해자’로 놓는 것에 익숙하다. 남성을 ‘잠재적 가해자’로 부른 이들의 논리는 그 연장선일 따름이다.

당연하게도, 상대를 부정적으로 일반화하는 레토릭은 상대의 협력을 이끌어내기 어렵기에 도저히 좋은 담론전략은 아니다(고백하자면, 십수년전에 페미니즘 문제 의식을 접했을 때 필자가 제안했던 레토릭은 무려 ‘보균자’였다. 즉 우리 사회에서 남자는 여성차별병에 이미 감염되어 있고 관리를 잘 하면 그나마 겉으로 드러나게 발병을 안 한다는 과격한 비유였는데, 필자가 지금도 마이너하지만 당시에는 더 마이너해서 다행히도 묻혔다). 누군가가 “너네는 한심한 보수꼴통이다 그러니까 우월한 우리 진보진영에 표를 던져라”라고 던진다고 생각해보면 쉽게 그림이 그려진다. 또한 다양성 인권 그런거 챙기는 현대 민주제 사회라면, 부정적 편견의 낙인은 큰 틀에서 원래 지양해야 하는 것 맞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모든 부정적 편견이 같은 방식으로 다뤄져야하는 것은 아니다. 관건은 편견이 얼마나 구체적인 사회적 불이익으로 연결되는가인데, 낙인을 받은 그룹이 사회에서 지닌 권력에 따라서 다르다.

미국에서 흑인에 대한 범죄 편견, 그러니까 흑인들을 잠재적 무장강도 취급하는 것이 심각한 차별문제인 것은, 그들이 사회적 약자로 받고 있는 여러 기회 상실의 불이익은 물론이고 경찰한테 비무장 사살당하기까지 하는 현실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주류성을 생각할 때, “남자는 잠재적 가해자”정도의 울분 표현이 기분 문제 너머 어떤 구조적 불이익으로 연결될지 잘 모르겠다(물론 이것이 강자인 ‘남성 일반’이 아니라 특정 개인에 대한 집단 괴롭힘이 되어버리면 다른 문제가 되지만). 편견은 모두 나쁘다는 큰 원칙은 크게 틀리지 않고, 어떤 운동이 급격히 크게 불붙다 보면 한심하게 극단적인 공격이 일각에서 등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편견을 소화하는 맷집은 호명된 범주가 지니는 구조적 권력의 양 만큼 다르다. 노동이든 이념이든 내가 사회적으로 약자인 어떤 영역도 물론 있겠지만, 성차별 구도에서만큼은 ‘남자’라는 집단범주는 매우 강하며 따라서 맷집도 그만큼 대단하다.

그런데 애초에 왜, 구조적으로 더 우위에 있다고 해서 무슨 맷집을 발휘해야 하는가. 함께 만들고 싶은, 또는 원하든 말든 함께 만들어야만 하는 공동의 사회적 과제(평등, 인권, 자유, 사랑과 정의 뭐 선진 민주제 사회에서 좋은 가치로 인정하는 것은 뭐든 넣어도 좋다)가 있기 때문이다. 분노나 불안의 일갈의 대상이 되었을 때, 그저 기분이 나쁘다고 연대를 파기하는 것이 공동의 과제 해결에 바람직할 리는 없다. 호명이 주는 구체적 차별의 불이익이 워낙 커서 결렬할 수 밨에 없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 오랜 구조적 약자라면 꽤 굳건한 구조적 강자에게 그런 차별을 할 힘이 없다. 그러니까 약자다.

즉 구조적 강자의 위치라면, 예를 들어 한국의 성차별 문제에서 남자라면, 대체로는 적당히 맷집으로 소화하면서 그 호명이 나오게 된 과정을 다시 살펴보고 무엇을 연대할 것인지 어떻게 문제를 고칠 것인지 각자 나름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살펴보는 것이 좀 더 건설적인 대처인 것이다. 안그래도 즉각적 치안 차원, 처벌/예방의 제도 차원, 인권 교육의 혁신적 개선 차원, 미디어 규범 정비 차원 등 동시다발적으로 차별 완화를 진척시켜야할 것들 투성이인데 말이다.

_Copyleft 2016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_
[이 공간은 매우 마이너한 관계로, 여러분이 추천을 뿌리지 않으시면 딱 여러분만 읽고 끝납니다]

Trackback URL for this post: https://capcold.net/blog/13275/trackback
14 thoughts on “잠재적 가해자라는 버튼

Trackbacks/Pings

  1. Pingback by 강남역 살인사건 – cpurple

    […] 전적으로 동감하는 글. 남성이라는 구조적 우위 뿐만 아니라, 서울대라는 학벌, 법조계나 금수저와 같은 대표적 계급에도 적용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 하위 멸시가 점점 심해지고 세분화되는 계급 구조의 모든 구성원 (자살 일보 직전의 기저층을 제외한)에게 유의미한 글이라 생각한다. […]

  2. Pingback by 베스트 오브 2016: 문화 이것저것(영화, 음악, TV, 웹), 캡콜닷넷 | capcold님의 블로그님

    […] 좀 소중하게 취급합시다 [IZE / 161007] 예스컷 캠페인이라는 징후 [IZE / 160728] 잠재적 가해자라는 버튼 진보넷을 지지합니다 아직도 트위터다 [오마이뉴스 […]

Comments


  1. 요약하면 남자는 강자니까 여자들이 기분나쁜소리 좀 해도 쿨하게 이해해주자 이건가요? 그게 우호적 성차별과 뭐가 다른지…

    • 윗분이 요약 엄청 잘해주셨네요.
      “니가 형편 나으니까 맘씨 넓게 받아줘라” 차라리 알기 쉽게 이렇게 이야기 되면 좋겠네요. 서로 오해도 없어지고

    • 간단합니다: 우호적 성차별은 http://pwq.sagepub.com/content/21/1/119 가부장적 ‘보호’를 지향하는 것이고, 제가 논한 것은 기분 나쁜 정도로 손털지 말라는 이야기입니다. 두 가지가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면, 두 가지의 차이에 대해 언젠가 제가 더 자세히 설명해야겠죠.

  2. 남자는 강자혹은 주류이기 때문에 여자들이 잠재적 가해자라고 치부해버리는걸 이해해줘야 한다는 얘기인가요?
    강자와 약자는 항상 상대적인것인데 보육원 폭행사건 하나만 보고 모든 여자들은 잠재적 아동 폭행범으로 몰아가도 여자들이 감내해야하는건가요?
    한 부모가 자식을 때린다고 모든 부모가 잠재적 자식 폭행범이 될까요?
    애초에 그런일을 하는 사람들이 비정상적인 경우인데 마치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러하다는 뉘앙스로 얘기를 한다는게 문제인겁니다.

    • 강자와 약자는 상대적인 것이라서 치안의 성차별에서 남성이 강자고 여성이 약자인 상태입니다. // 들어주신 예를 활용하면, 자식이 부모에게 맞을 때 저항하지 못하고 신고하기도 어렵고 신고해도 처벌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구조적 약자 맞고, 그걸 사회가 오랫동안 외면하고 있으면 잠재적 자식폭행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조건을 개선해야죠.

    • “저항하지 못하고 신고하기도 어렵고 신고해도 처벌이 이뤄지지 않는다” 라는게 구조적 약자란 이유인가요?
      이번 사건의 경우 이미 범인도 잡혔고 처벌도 받을텐데 그렇다면 말씀하신 경우와 다른것같은데요
      두번째는 “사회가 오랫동안 외면하고 있으면 잠재적 자식폭행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라고 하셨는데 우리 사회가 지금까지 살인에대하여 외면하고 있었는지도 잘 모르겠네요.
      오랬동안에 대한 기준도 모호하구요
      이미 강력범죄율이 낮은 편인데도 불구하고 어떻게 더 안전하게 하고싶은지 잘 모르겠어요
      얘기를 들어봐도 다 잠재적 범죄자라고만 하고 그에대한 해결책은 없네요
      물로 범죄가 일어나지 않는게 가장 좋지만 가족끼리도 범죄가 발생하는데 5000만명이 사는곳에서 범죄가 없어지는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딜가나 정신이상자나 그쪽에서 얘기하는 여혐 있을 수 있고요 남혐도 존재할 수 있죠.
      소아성애자, 사이코패스등등 근본적으로 없어지는게 불가능합니다.
      교통사고가 나고싶지 않으면 어떠한 제도를 들고와도 자신도 조심을 해야하는것이 맞습니다. 물론 조심한다고 해도 사고가 날 수 있지요.
      사고가 났을때 과실에 따라서 처벌이 있겠지만 죽고나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근본적인 문제는 여혐 여부는 아닌것 같습니다.
      범죄가 일어나는걸 100% 막을 수 없는 대부분의 정상적인 남성들에게 잠재적 범죄자라고 하는게 과연 옳은 일인가요?

    • -저항/신고/처벌을 못하게 하는 구조적 요인이 있을 때 구조적 약자입니다. 강남 사건이 아니라 아동학대 비유 들어주신 것에 대한 것입니다.
      -우리 사회가 살인에 대해 외면하지 않았습니다. 살인사건을 다루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차별 요소에 대해 상당 부분 외면해왔죠.
      -이제 그에 대한 해결책을 논하자고 쓴 글이고, 제가 생각하는 몇가지 시작지점을 마지막 문단에 적시했습니다.
      -‘근본적 문제’가 여혐인지는 부차적입니다. 여혐 요인을 인정하지 못해서 연대와 해결 모색이 진척이 더딘게 중심 문제죠.

    • – 그렇다면 강남사건과 구조적 약자와는 관계가 없다는 것인가요?
      -살인사건에서 어떤 성차별이 있었죠?
      -어떤것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자는 것인가요?
      -여혐인지 아닌지의 여부가 연대와 해결모색과 관계가 있나요?

    • “어떤 특정한 사건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 합리적 이유없이 한 집단 전체에 대한 일반적인 편견으로 확대되는 것이 바로 사회적 혐오입니다.”
      이게 지금 강남역 여성들이 행하고 있는거 아닙니까?

    • 어떤 특정한 사건 – 강남역 살인사건
      부정적 감정 – 남자는 모두 잠재적 범죄자다
      합리적 이유 없이 – 99%의 남성들은 그런 범죄를 저지르지 않습니다.
      한 집단 전체 – 모든 남성
      일반적인 편견 – 남자는 모두 잠재적 범죄자다

      제 시각에서는 이렇게 보이네요

  3. 편견은 나쁜 것이지만 편견없이 사는 사람도 없습니다. 그래서 편견이 없어져야 한다는 주장은 그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비현실적입니다. 그렇지만 잠재적 가해자로 낙인찍히는 건 마음아픈 일입니다. 잠재적 가해자라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있을까요? 이분법적 편가르기, 계층 구분은 상당히 강력하면서도 위험한 사회적 시각입니다. 남성/여성으로 나누는 것도 절대 선험적인 것은 아닌 겁니다. 이번 사건이 오히려 이러한 시각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