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르잔 사트라피의 <페르세폴리스> 출시. 4권짜리 불어판이 아닌 2권짜리 영어판 기준으로 만들어졌으며 커버아트 등도 영어판을 소스로 하고 있다. 뭐 capcold한테도 꽤 사연이 있는 작품인데, 여튼 한국어판이 나왔으니 많은 한국독자들에게 어필해줬으면 한다. 내용은 한 이란 여성의 성장담. 1권은 성장기, 아직 출시안된 2권은… 2권도 성장기. 1권은 이란에서 겪는 일들, 2권은 청소년이 되자 유럽으로 유학와서 겪는 일들. 여성성, 정치현실, 자유의 의미, 가치관의 충돌… 등등 여러 굵직한 테마들이 대단히 담담하고 상당히 유머러스하게 흡입력을 발휘한다. 개인적인 평가로는 특히 1권(불어판 기준이면 1,2권)은 아트 슈피겔만의 <쥐>에 비견할만한 포스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 2권은 현대 유럽이라는 별로 치열할 것 없는 공간에서의 경험에 더 초점이 강하게 맞추어져서, 아무래도 추진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뭐 나중에 나오면 알아서들 보시기를 바란다.
!@#… 에에, 아직 한국어판을 못읽어봤지만(출판사 사이트에 올라와있는 미리보기 챕터 하나만 빼고는), 그런데 뭔가 제목부터 약간 불안하다: “나의 어린시절 이야기”라… 원래 영어판 1권의 부제는 “The Story of a Childhood”, 즉 “어떤 어린 시절 이야기” 라는 뉘앙스. 작가라는 개인의 어린시절을 통해서 이야기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어찌보면 평범하고 흔한 당대의 현실이라는 이중적인 톤이 들어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냥 ‘나의 어린시절’이 되어버리면 그냥 단순히 작가의 개인적인 개인사가 되어버리지 않는가. 게다가 영어판 2권의 부제가 1권과 세트를 이루는 “The Story of a Return”, 즉 “어떤 귀환 이야기” 인데, 그것마저 혹시 “나의 귀환 이야기”로 해버리면 김이 정말로 팍 새지 않는가.
주인공의 말투도 꽤 민감한 문제다. 알다시피, 내가 번역을 맡으면 메인 주인공의 기본 말투는 capcold화되어버린다. 예를 들어 <만화의 이해>의 스콧 아저씨야 원래 스타일이 비슷하니까 잘 맞아떨어진거고, <다르면서 같은>의 경우 역시 주인공 사이먼의 정신세계나 만담정신이 일맥상통하니까 그럭저럭 어울렸다. 하지만 이란계 여성 작가가 자신의 성장담을 회고하면서 capcold식 말투를 구사한다면?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면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영화에서 더빙 성우를 고르는 것 이상의 험난한 과제다. 그래서 좋은 문학 번역 – 특히 만화 번역을 위해서는 항상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문체를 다듬고 다듬어야 하는 법(대량으로 붕어빵처럼 찍어내는, 1주일에 한권씩 통통 번역해내는 주류 코믹스계 일본어 단행본은 이야기하기도 싫다). 그런데 <페르세폴리스> 1화 샘플을 본 결과… 아아… 이 이란 처자의 말투는 새만화책 편집인이자 만화작가인 김대중씨의 목소리 그대로다. 그것이 강력한 위화감으로 작용할지, 아니면 작품 속에 녹아들어갈지는 책의 나머지 본문을 읽어봐야 알겠다.
번역시의 뉘앙스 문제에 신경쓰이는 건 capcold의 직업병(혹은 성격?)이니까 아무래도 일반 독자들보다 훨씬 민감해서 그럴수도 있겠다고 생각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여하튼 본문의 번역은 원래 작품이 가지고 있던 풍부한 센스를 잘 옮겨주었기를 바란다. 하기야 따지고 보면 나도 영어판으로 봤으니, 원래 원작인 불어판에서 옮겨오면서 또 얼마나 많은 의미들이 소실되었을지 상상하기도 싫다. -_-; 중역이 가지는 원죄라고나 할까.
!@#… 여튼, 알라딘US를 쓰든지 어쩌든지, 한번 구해보긴 해야겠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그때 다시.
— 2005 copyleft by capcold. 이동 수정 영리 자유 —
Pingback by capcold
[네이버트랙백 백업]
– 사회를 통찰하는 유머 – <페르세폴리스> [기획회의 051129] 12/14 04:01 캡콜드(capcold)
– 페르세폴리스, 그리고 만화번역 잡설(2) 11/02 01:41 캡콜드(capcold)
– 페르세폴리스 구입하다. 10/19 01:16 pinksoju
– 마르잔 샤트라피 <페르세폴리스> (새만화책) 10/17 01:09 쿠루쿠루(enter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