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움은 끝난 적 없다 –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 [기획회의 315호]

!@#… 책내 추천사를 기반, 기획회의 리뷰용으로 증보한 버전.

 

싸움은 끝난 적 없다 –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

김낙호(만화연구가)

영화제작사 소개가 끝나면 시작하고 제작진 이름이 올라가면 끝나는 영화와 달리, 우리가 사는 현실은 늘 중간 어디쯤에 놓여있다. 좋은 일도 나쁜 일도 모두 그 전부터 쌓여온 무언가 위에 서있고, 극적인 일을 겪었다고 해서 갑자기 끝나지 않고 그저 다른 국면으로 변할 따름이다. 계속 관심 기울이기에는 다른 이슈가 늘 오는 세상 속에, 사람들은 하나의 마무리 계기라고 여겨지는 것이 등장하면 기다렸다는 듯이 망각하기 바쁘다.

언론과 여러 논의에 오르는 철거민의 비극도 그 중 하나다. 사실 대부분의 경우는 처음부터 논의에 올라 관심을 받지도 못한다. 나한테 직접 피해나 이익이 오는 일이 아닌데, 딱히 유쾌한 일도 아닌데, 그 안에 연결된 여러 가지 이슈를 알고 싶지도 않은데 어째서 관심을 기울이겠는가. 길을 가다가 다 헐어진 건물 앞에서 시끄럽게 무언가를 외치는 그들에게 미친놈들이라며 짜증낼 정도로 미개하지만 않으면 그나마 다행이다. 그래도 고공농성을 하다가 황당한 진압명령으로 몇 명쯤 불에 타 죽는 큰 사고가 하나쯤 생기면 잠시 주목을 받고, 한동안 시끄러워진다. 센세이션 속에 밀고 당기는 이야기들이 오가다가, 얼추 무언가에 대해 합의를 봤다느니 어쨌다느니 하면 그것조차 그럭저럭 다시 묻힌다. 하지만 현실의 그 자리에는 여지없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수많은 여타 문제들과 함께 사람들이 남아있다. 누군가에게는 소소한 관심 한 줄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생활의 전부가 걸려있기에, 그들은 떠날 수 없다.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김홍모, 김수박, 이경석, 심흥아, 김성희, 유승하 / 보리출판사)는 철거민에 관한 르뽀 만화다. 이 책은 09년 용산사태를 다룬 [내가 살던 용산]의 후속권이지만, 단순한 속편이 아니다. 용산 이전에도 늘 존재했던 땅 소유와 개발논리의 근본적 모순, 개발과정의 절차와 문제를 다룬다. 용산과 다른 곳에서도 벌어지지만 관심에서 철저히 가려진 동네의 모습들, 그 안에서 벌어지는 철거항의자 인권 유린, 무관심 속에서도 어쨌든 하루하루 더 싸워볼 수 밖에 없는 사연들이 있다. 당연히 용산의 이야기도 다시 돌아본다 – 일부 배상금 합의와 별개로, 당장 그날 비극에서 살아남은 죄로 도심 테러리스트로 낙인찍혀 법정에서 중형을 선고받는 이들, 그리고 남겨진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늘 공사중이고 성장중인 수도권, 그 이면에 늘 얻어맞고 눈물흘리는 철거민들이 있기에 다뤄야할 모습들은 더 넓어졌다.

책을 여는 것은 김수박 작가의 작품 ‘땅따먹기’로, 모든 철거민 문제의 근간인 땅이 과도한 가치를 부여받는 과정을 설명한다. 어릴적 땅따먹기 놀이의 절묘한 비유와 세부적 인용 등이 합쳐진 담담하고도 유연한 해설은, 과장된 충격효과 없이도 강력한 몰입감의 지식만화를 만들어낸다. 뒤를 잇는 유승하, 심흥아의 작품들인 ‘니 편한 세상’과 ‘그 길 옆에’는 각각 서울 신계동과 고양시 덕이동의 삶의 터전에서 쫒겨 났지만 그 자리에서 계속 싸우고 있는 사람들의 사연을 보여준다. 대단할 것은 없지만 아늑했던 집 대신 차와 텐트를 이끄는 그들의 옆에는, 그간 무심하게 죽순처럼 올라선 거대한 고층 아파트촌이 보인다.

부천시 중동 철거촌의 아줌마들을 인터뷰 취재한 모습을 담은 이경석 작가의 작품 ‘중3동 여자들’은 이 책의 백미다. 깔끔함과 거리가 먼 작가 특유의 스타일을 과격한 개그가 아닌 오로지 가라앉은 증언만으로 풀어내는 다큐로 풀어내자, 비슷한 접근법을 지닌 조 사코의 [팔레스타인]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묵직한 효과를 내고 있다. 어떤 면에서, 대부분의 독자들이 철거민의 경험을 대신 경험하기보다는 이 작품 속 작가처럼 그저 말로 전해 듣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인터뷰를 마치고 작가는 그들의 안내를 받으며 동네의 구석구석을 사진취재하며 바라본다. 일상과 폐허가 공존하는 그곳을 담담히 발견해나간다.

김홍모의 작품 ‘갈 곳이 없다’는 철거촌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에나 함께 엮여있음을 보여준다. 자신도 철거민이자 남의 철거촌에 연대하고 돕기 위해 나선 이를 통하여, 성남시 단대동과 용산참사의 현장을 오간다. 그리고 비극적 사건 속에 사람과 사람의 이야기가 연달아 엮이는 모습을 보여주며, 새로운 시대의 – 하지만 익숙한 사회문제의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보여준다. 마무리를 짓는 김성희의 작품 ‘꿈결 같은’은 많은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하나씩 해준다. 왜 한국식 재개발 방식에서 이해 관계가 꼬이고 철거민 문제가 쉽게 발생해 버리곤 하는지, 왜 그것을 다시금 서둘러 덮어버리고 넘어가는지에 대해 하나씩 끄집어낸다.

책은 ‘땅의 가치’에 대한 기본적 질문으로 시작하고, 사연들이 넘치고, 질문에 대답하는 책은 글로 된 코다와 함께 마무리된다. 비록 [내가 살던 용산]만큼 형식이 꽉 짜여진(희생자 1인당 1단편+에필로그) 느낌은 아니지만, 개별 작품들의 스토리텔링은 확실히 한 단계 더 발전했다. 오늘 한국의 현실에 제대로 발을 딛을 때 한국의 르포만화는 가장 빛을 발할 수 있고, 바로 그런 것을 해내는 역량이 연속성 있게 축적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작품들은 취재 대상인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감상적인 비극으로 흐르지 않고, 필요한 거리감을 유지하기 시작했다. 세상은 충분히 꼬여있고, 철거민의 비극은 저기 어딘가에 악의 마왕이 시켜서가 아니라 일상적 욕망들의 체제화된 응집과 비극적 충돌이기 때문이다. 땅의 가치를 높이고 편한 아파트를 얻기 위해 누군가를 가볍게 희생시킨다. 체계화된 과정으로 행정이 동원되고, 법이 오고, 법을 넘어선 용역깡패들이 온다. 이런 것은 피해를 받는 사람들에 대한 단순한 이입이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세상을 보여주고, 모순의 사회성을 더 적극적으로 보여줘야 하는 성질의 것들이다. 이런 것을 다루는 방식은 대사나 줄거리 뿐만 아니라 풍경을 보여주는 연출, 사람과 사람의 갈등을 이어가는 연출, 어려운 질문들에 대해서 간단한 음모론보다는 세부적 설명을 찾아나서는 모습에서 빛을 발한다.

물론 만화책 한 두 권이 철거민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철거 문제가 찰나의 비극적 구경거리가 아니라 사람 사는 세상 어디에나 생겨날 수 있는 사회적 모순의 단면임을 직면시킨다. 만화책으로 생각과 관심을 얻은 이들이, 그런 해결을 위해 함께 조금씩이나마 움직여나갈 수는 있다. 좋은 책이 할 수 있는 것은 결국 그런 것이다.

떠날 수 없는 사람들
김성희 외 5인 글.그림/보리

======================
(격주간 <기획회의>. 한국출판마케팅 연구소 발간. 여기에 쓰는 글에서는 ‘책’이라는 개념으로 최대한 접근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과야 어찌되었든. 즉, 업계인 뽐뿌질 용.)

다음 회 예고: ‘스피릿 오브 원더’ …이 책이 나왔는데 추천하지 않았을 리가 없음.

Copyleft 2012 by capcold. 이동자유/수정자유/영리불가 —    [부디 이것까지 같이 퍼가시길]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