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과 가족: 마당씨의 식탁 [기획회의 397호]

!@#… 작가의 귀농 연작으로, 갈수록 자연스러워지는 표현력.

 

귀농과 가족: [마당씨의 식탁]

김낙호(만화연구가)

거대한 도시 생활의 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좀 더 소박한 농촌 생활을 동경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관광과 생활은 완전히 다른 것이어서, 잠시 위안을 얻고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서 살아갈 결심을 한다면 현실적 조건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우선, 도시에서 인구밀도가 가져다주는 시장성에 힘입은 각종 현대적 설비와 서비스들을 포기해야 한다. 크고 작은 도시적 편의를 따로 제공받지 못할 경우, 오로지 제때에 밥을 챙겨먹고 정리하는 것 하나만으로도 하루 일과가 다 채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삼시세끼]라는 인기 예능 프로그램은, 불편을 감수해야한다는 그런 지점을 재미요소로 삼고 있다.

하지만 그 프로조차 다루지 않는 훨씬 중요한 생활의 현실이 바로 사회적 삶, 특히 가족이다. 아이가 있다면 아이를 그 환경 안에서 적절하게 키워야 하고, 가족이 모두 자신이 원하는 무언가를 할 수 있어야 하며, 도시에 계속 사는 부모친척이 있다면 원거리 관계를 꾸려나가야 한다. 불편함이란 단지 물질적 조건이 아니라, 가족의 사회적 적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삶이 더 낫다고 결정한다면, 그 이유 또한 아마도 가족일 것이다.

[마당씨의 식탁](홍연식 / 우리나비)은 한 도시 가족이 귀농해서 살아가는 자전적 이야기다. 총3권이 예정되어 있는데, 현재 발매된 1권은 기본적으로 주인공 마당씨가 속했던 두 가족에 대한 이야기다. 이 작품은 귀농을 결심하고 내려가는 과정을 세밀하게 보여준 전작 [불편하고 행복하게]의 일종의 속편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다루는 소재의 범위나 표현방식이 조금 결을 달리한다. 귀농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보다는, 가족이라는 사회적 관계와 성찰이 한층 정면에 부각되어 있다. 또한 전작과 달리, 주인공들이 의인화한 동물 캐릭터로 표현하고 있다. 동물의 어떤 뚜렷한 상징성을 담아내기 보다는, 인간사의 가볍지 않은 미묘함을 본격적으로 소재로 다루는 것에 대한 반대급부 같은 느낌이다. 노래를 부르며 마치 뮤지컬처럼 상황을 두루뭉술 전개해버리는 대목도 여럿인데, 그 또한 현실 안에서 분위기를 살짝 띄우는 선에서 활용될 뿐이다. 마찬가지로, 자동차가 하늘을 날아 도시와 농촌을 오가는 등 환상적인 느낌의 표현도 종종 있지만, 그렇게 도달하는 곳은 도시든 농촌이든 사람들이 현실적으로 관계를 이어가고 생활을 하는 공간이다.

농촌이라는 공간과 함께 작품의 중심 소재가 되어주는 것은 바로 제목에도 담겨있듯, 먹거리다. 실제로 텃밭에서 먹을 것을 재배하여 건강한 식탁을 꾸리는 것이 생활의 중요한 일부로 그려지고, 함께 김장을 한다든지 하는 먹거리를 소재로 하는 에피소드들이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직접 키운 식재료로 밥상에 가족이 함께 앉고, 예전에 기억하던 가족의 좋고 싫었던 모습들을 함께 떠올리며 의미를 되새기기도 한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밥상은 좋은 식재료에 대한 미식 홍보가 아니라, 가족이라는 사회관계가 만들어낼 수 있는 행복에 대한 일종의 상징에 가깝다. 김장 이야기만 하더라도, 함께 흥겹게 하는 훈훈한 사연의 모습을 한 꺼풀만 벗겨내면 건강상태 등 여러 요인이 있기에 이것이 모든 이들이 함께 할 수 있는 마지막일 수도 있다는 덤덤한 현실인식이 담겨있다. 어머니의 밥상이 그리운 것은 어머니의 맛이 세상 최고의 미식이라서가 아니라, 폭력적 아버지와 대비되던 어머니의 따스함을 기억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런 온기를 지금의 가족과 함께 나누는 것이 어떤 세속적 성공의 잣대보다도 훌륭하게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된다.

마당씨가 꾸려낸 가족인 부인과 아기는 농촌으로 내려와서 밥상머리의 행복을 찾고 있지만, 그가 성장해왔던 가족인 부모님은 여전히 도시에 살고 계신다. 폭력적이던 아버지였기에 마당씨는 부모님을 모시고 내려오는 방식으로 두 가족을 하나로 합치지 않는다. 한편 그 부모님의 삶은 결코 순탄치 않았고, 열심히 그러나 가난하게 살아가다가 지금은 반지하방에 살고, 몸이 좋지 않다.

이렇듯 이 작품은 연결되어 있는데 대비되는 두 가지 요소들을 계속 교차시키며 가족이라는 것에 대한 양가적 느낌을 풀어낸다. 한쪽에는 가난하고 폭력적이었던 어릴 적 가족에 대한 기억과, 지금 함께 밥상에 앉은 가족이 행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는 다짐이 교차한다. 어릴 적 가족의 기억에도 두 가지 요소가 교차하는데, 공사 나가시던 폭력적 아버지와 따뜻한 밥상을 차려주시던 어머니였다. 그리고 그 당시의 기세등등하던 아버지와 젊고 예쁘던 어머니, 지금의 노쇠한 부모님의 모습이 다시금 교차한다.

지금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 자체도, 농촌 생활에서 가족의 행복을 추구하는 일상과 부모라는 가족의 병환을 돌보는 과정이 교차하는 식이다. 가족의 행복은 일상의 테두리 안에서 점점 더 성숙해지는 과정으로, 밥상 같이 가족이 함께 무언가를 하나씩 해나가면서 깊어진다. 반면 그와 대비되는 부모님의 건강 돌보기는 점점 더 심각한 건강이상을 다룰 수 있는 큰 병원으로 옮겨가는 흐름이다. 더 깊은 관계를 위해 내면을 성찰하고 함께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점점 더 큰 행동을 요구하는 소모의 과정인 셈이다. 한쪽은 지금 만들어 나아가는 행복이고, 다른 한쪽은 이전에 있었던 불행과 행복의 양가적 감정 위에서 가족이기에 상황을 감당해내는 것이다.

두 가지의 모습, 두 가지 세계와 그 중간 모든 것이 결국은 가족의 모습이다. 그리운 밥상의 기억으로부터 그립지 않던 아버지의 기억만 분리해서 망각할 수는 없다. 자신이 자라온 가족의 모습을 지금의 가족에게 스며들지 않도록 신경 쓸 수는 있어도, 두 가족의 모습이 함께 지금의 마당씨를 만드는 것이다. 가족은 행복하고자 함께 살아가는 단위기도 하지만, 병환 같은 불운에 대처하는 것을 감당해야 하는 관계이기도 하다.

다행히도 마당씨는 그런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있다. 일상의 사건과 기억들을 덤덤하지만 세밀하게 묘사하면서, 자신의 가족에 대한 기억은 절반은 모범으로 절반은 반면교사로 삼아가고 있다. 그리고 늘 가족의 행복이란 무엇일까 온갖 나레이션으로 성찰하며, 불편해도 더 많은 밥상을 함께 하는 것을 선택했다. 그저 더 맛있는 밥이 아닌, 가족의 밥을 위한 귀농이다. 이렇듯 가족에 대해 생각하는 과정을 되새겨보는 재미가 바로 이 작품의 핵심 매력이 아닐까 싶다.

마당 씨의 식탁
홍연식 글.그림/우리나비

======================
(격주간 <기획회의>. 한국출판마케팅 연구소 발간. 여기에 쓰는 글에서는 ‘책’이라는 개념으로 최대한 접근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과야 어찌되었든. 즉, 업계인 뽐뿌질 용.)

다음 회 예고: DP 개의 날

_Copyleft 2015 by capcold. 이동자유/수정자유/영리불가_
[이 공간은 매우 마이너한 관계로, 여러분이 추천을 뿌리지 않으시면 딱 여러분만 읽고 끝납니다]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