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속 사정이 좀 그렇긴 해도, 2월중 포스팅이 0이란건 너무 방치플레이라서, 대방출. 썰전 새 게스트 등장 당시 썼던 글. 게재본은 여기로.
업그레이드한 <썰전>, 그 다음 업그레이드를 위해
김낙호(미디어연구가)
“보수 토론의 거성”과 “진보계의 사이다”가 맞붙는 토크쇼라니, 확실히 재미와 유익함을 보장할 것만 같다. 진행자 김구라의 다소 호들갑스러운 소개가 지칭하는 것은 바로 새로운 간판 출연자인 전원책 변호사와 유시민 작가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두 사람 모두 한창 때 MBC [100분토론]을 필두로 각종 토론 방송에서 특정한 사회적 시각을 호쾌한 말솜씨로 풀어내어 좌중을 압도하여 인기를 누려왔다. “독한 혀들의 전쟁”으로 뉴스를 털겠다고 포부를 밝히는 프로그램이라면 당연히 욕심낼만한 최상의 고정 출연진인데, 정말로 성사되었다.
실제로 첫 방송분은 그들의 지명도가 허명이 아님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북한 핵실험, 국민의당 창당, 사우디의 집단처형 등 지난 1-2주 동안 벌어진 굵직한 국내외 시사 사건들에 대해서, 각각 보수적 시각, 자유주의적 시각에 입각한 견해를 명료하게 표현해냈다. 물론 전원책의 시원하게 대충 넘겨짚는 접근은 이번에도 국민의당 사안을 논하다가 “이념과 정책으로 뭉친 곳이 없다”는 발언으로 이념과 정책 말고는 내세울 것이 없는 오랜 진보정당 실험의 역사를 지워버렸다. 한편 유시민은 근래에 부쩍 해탈의 이미지를 보여주던 대로, 창당의 “날림 공사”를 지적하면서도 “결과는 천명에 맡기고 소신껏 하시라”고 덕담을 던지는 묘한 위화감을 주었다. 하지만 이런 단점들을 감안하더라도, 어디까지나 말의 논리 틀 안에서 대결하는 페어플레이 안에서 첨예하게 맞서고 관객을 흥분시켜주는 희소한 출연자들임을 부정할 수 없다.
더욱이, 두 사람은 프로그램이라는 속성을 처음부터 확실히 숙지하고는 자연스러운 농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편성을 안 늘려주면 함께 출연하지 맙시다”, “아뇨 저는 그래도 출연할겁니다” 식으로 주고받는 대화의 결은, 오랜 시간 팀워크를 이룬 예능 프로그램의 공동 주인공들의 느낌을 주었다. 이들의 탁월한 존재감은, 오랜 기간 그 자리를 지켰다가 퇴장한 이전 두 출연자들에 대한 기억을 덮어버리고도 남았다.
그런데 두 사람을 통해서 예상대로 이뤄낸 업그레이드를, “100분 토론의 예능 버전”이라고 받아들이는 것은 매우 곤란한 인식이다. MBC 시사교양국이 쑥대밭이 되기 전의 [100분토론]을 상기해보면, 출연 패널은 해당 주제 전문가 내지 의결권자들을 기본으로 놓고, 일정한 공격성으로 말을 풀어내는 논평가들을 끼워서 재미를 추구하는 식이었다. 즉 분야 전문성이 핵심이었던 것이다. 공공적 함의가 높은 토론 프로그램의 방향은, 전문성의 견지를 통해서 사안의 섬세한 현실을 밝히고 합리적 대안을 합의해나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썰전]은 논평가 패널들의 대결이 핵심인, 말싸움 예능이다. 비단 유시민이 아니라 그 누구라도, 자신의 전문분야와 일부 인접분야 외에 대해서는 일정한 교양을 지닌 평범한 시민으로서 사회 사안을 바라보는 것일 뿐이다. 나아가 지나가는 농담조차 “(사회자가) 중도를 지키지 않으면 방송 중 자리에서 일어나겠다”는 이념 대결 으름장을 던지며 말싸움의 오락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프로그램인 것이다.
[썰전]이라는 시사 예능이 무익하거나 열등하다는 지적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반대로, 오락적 재미를 통해서 대중들이 중요한 시사적 사안을 알도록 하는 것의 긍정적 효과는 이미 많은 국내외 미디어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다만 패널 본인들은 물론이고 바로 시청자들이 시사 예능과 토론 프로그램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할 따름이다. 시원한 입장 표명과 호쾌한 대결은 사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지만, 그렇게 중요한 사안일수록 실제 해결에 필요한 것은 전문적 디테일에 기반한 합의의 과정이다. 두 가지가 긴밀하게 연동될 때 비로소 관심은 소모성 감정에 머물지 않고 해결과정 참여로 이어질 수 있다.
마침, 그런 연동을 시도하기 좋은 여건이 있다. [썰전]에서 입담 좋은 패널들이 던지는 주장들에 대해 같은 방송국 뉴스팀의 ‘팩트체킹’ 코너 팀이 사실관계를 검증하여 관련 지식들을 연결해주면 어떨까. 홈페이지에 그날 방송분에서 다룬 사안의 타임라인, 더 찾아볼 수 있는 자료, 하다못해 그 사안에 관한 JTBC 뉴스 꼭지가 링크로 제시된다면 얼마나 큰 도움이 될 것인가. 단일 프로그램의 유익함이나 인기 너머, 총체적 담론화를 이끌어내는 큰 그림이 그려지기를 희망한다.
_Copyleft 2016 by capcold. 이동자유/수정자유/영리불허_
[이 공간은 매우 마이너한 관계로, 여러분이 추천을 뿌리지 않으시면 딱 여러분만 읽고 끝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