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적으로 상당히 좋아하는 그림책 ‘벽속의 늑대들’ (Wolves in the Walls)의 한국어판이 ‘벽속에 늑대가 있어’라는 제목으로 출간. 특히 무엇보다 바로 그 명콤비 작가들의 작품이니. 그런데, 한국어판의 저자 이름으로 떡하니 올라와 있는 이름에서 잠시 멈춤. 그림작가인 데이브 맥킨 Dave McKean이 작가 이름란에 안들어가 있는 경우가 태반이라는 것도 당혹스럽지만, 글작가인 닐 게이먼 Neil Gaiman의 이름이 또 가이먼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이다. -_-; 이미 작가가 이전에 인터뷰에서 ‘게이’ 할 때의 그 발음이지 ‘가이’가 아니라고 명백하게 이야기까지 했건만, 한국에서는 참 줄기차게 가이먼이라고 읽는 사람들이 있다. 1998년 뉴스플러스에 연재된 세계만화탐사에서 성완경 교수가 가이먼이라고 오독한 이래로 끊이지 않고 누군가는 가이먼으로 읽어준다 (이것보다 더 오래된 참조 사례가 있으면 알려주시길). 심지어 소금창고에서 금붕어, 김영사에서 코랄라인(코랄’린’이라고 출간되었지만), 백양에서 트리스트란, 황금가지에서 환상문학 단편선, 그리폰북스에서 멋진 징조들을 명백하게 ‘게이먼’으로 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가이먼으로 회귀했다. 번역자가 작가 이름 하나 제대로 조사할 필요를 못느끼고 대충대충 해버렸거나, 아니면 뭔가 이름을 반드시 ‘가이’로 해야하는 다른 사정이 있었거나. 게이를 죽도록 싫어하는 호모포비아라든지.
!@#… 하기야 이런 비슷한 원죄를 capcold 역시 한 가지 가지고 있다. ‘만화의 이해’의 작가로 유명한 스콧 맥클라우드 Scott McCloud를, 시공사에서 2001년에 ‘만화의 미래’ 책 번역할 때 스콧 ‘맥클루드’라고 표기해서 나가도록 한 것. 그 때 갈등했던 것은 이전에 이미 수년동안 돌고 있던 아름드리판 ‘만화의 이해’ 책에 맥클루드라고 오독되어 표기된 덕분에 국내에서는 정설이 되어버린 명칭을 이어가느냐, 아니면 버리느냐의 문제였다. 버리면 표기는 정확해지지만, 대신 같은 작가의 차기작이라는 연계성이 죽어버린다. 동시검색이 안되는 것도 물론이고. 그래서, 버렸다. 맥클라우드가 맞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맥클루드로 갔다. 그런데… 그게, 한번 그래놓으니 이듬해 ‘만화의 이해’를 시공사에서 재번역 재출간 작업할 때 또 어쩔 수 없이 맥클루드라고 쓸 수 밖에 없게 되었다. 그리고 책 두권이 그런 식으로 나가버리니 여기저기서 인용되는 것도 다 루 투성이가 되어버렸다. 마르크스에서 맑스라고 정정해서 부르기 시작한 90년대 좌파들의 고뇌가 이랬을까 (농담). 덕분에, 만약 번역개정판을 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제1단계로 바로잡고 싶은 숙원이 되어있다.
!@#… 여튼 꺼내고 싶었던 말은 이거다. 번역은 말만 옮기는 것이 아니다. 그 작품은 물론, 작품을 만들어낸 작가의 전부를 다른 언어권의 수용자층에게 소개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언어능력은 기본이고, 최고급의 해당분야 전문성, 그리고 끝없는 쪼잔함까지 요구되는 것이다. 그게, 과연 사람 이름이라도 제대로 읽을 줄 아는지에서 가장 먼저 드러나게 되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경 안쓰고 넘어갈만한 일이겠지만, 누군가 한명쯤은 (예를 들어 capcold라든지) 그게 얼마나 쪽팔리는 일인지를 자꾸 꼬집어줘야 마냥 둔감해지지 않을 수 있겠지.
— Copyleft 2006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포스팅 본내용과는 딴 소리라 죄송하지만 멋진 징조들의 작가라니, 꼭 구해봐야겟군요 ^^!
!@#… 닐 게이먼은 현재 만화뿐만 아니라 영미권 환타지문학 전반의 톱 그룹으로 꼽히고 있으니, 안심하고 찾아보셔도 좋습니다. 특히 현대사회와 신화적 모티브의 결합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1996년경에 제 온라인상의 이름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가이먼”으로 표기했던 적이 있었군요. 하지만 그때는 게이먼의 웹사이트가 생기기도 훨씬 전이었고 (2001년에 소설 American Gods의 홍보를 위해서 처음 생겼었죠) 심지어 만화가게 주인들도 “가이먼”이라고 발음했었다는게 변명이라고나 할까요.
맥클라우드의 경우에는 올바른 발음을 위해서 본래 이름의 스펠링까지 바꿔썼는데도 여전히 틀린 표기가 된거라서 더욱 아쉽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만화가 이름 표기중에서 “맥클루드”보다 더 눈에 거슬리는건 아마 “슈피겔만”이 아닐런지.
!@#… 말씀하셨듯 슈피겔만 -> 스피글먼도 정말 “언제 기존 인식을 죄다 버리고 고쳐야할지” 모를 이름이죠. -_-; 저 역시도 자꾸 ‘슈피겔만’이라고 하다보니 익숙해져버려 있음을 고백합니다 (물론, 유럽에서 살던 아버지 세대에서는 슈피겔만이 맞았겠지만).
슈피겔만의 원발음은 처음접하네요.
맥클라우드는 , 생각해보니 저도 말할때 혼용…그래서 둘다 맞는줄 알았어요.
게이먼은 단 한번도 가이먼으로 발음되거나 연상된적이 없는데 묘하네요.
역시 캡콜선생님의 이런 글은 참 많이 배웁니다.
특히, 그냥 말없이 고치는것보다 ‘왜’ ‘언제’ 고치게 되었는지를 기록하거나 공유하는 것은 참으로 유익한 일일것 같습니다.
혹자는 뭔가 잘못된것을 말없이 수정하고 싶어하거나 삭제해버리지만, 자신이 무언가에 대해 잘못기록한것마저도 기록해둔다는 것은 결국 작지 않은 득으로 돌아오는 것 같더라구요.
‘스피글먼’으로 검색해봐도 하나도 안 나오고 ‘슈피겔만’으로 검색하니까 우루루 나오는군요;;
저도 세계만화탐사나 캡콜님의 가족만화 기사를 보고 슈피겔만이 맞는걸로 알았으니 그럴만도 하지만(…)
이 정도의 발음왜곡을 한국버전으로 하자면 둘리의 작가분인 김수정씨를 배우 임수정씨로 바꾸는 정도?;;
오역전문가 정보라입니다. 능력있는 편집자들 덕분에 작가 이름은 틀린 적이 없는 거 같지만 (… 찾아보면 있을지도) 본문 중에 틀렸는데 안/못 고치고 넘어가버린 수많은 단어와 문장들을 생각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지경이지요.
근데 이건 좀 딴 얘기지만, 제가 번역하는 건 주로 소설이라서 원문의 문학적인 표현들이 한국말로 바꿔놓으면 (혹은 안 바꿔놓고 그냥 읽어도) 진짜 이상한 경우가 많아요. 언어능력 / 전문성 / 쪼잔함을 다 갖췄어도 (없지만) 결국은 독자 입장에서 못 알아들을 거 같으면 ‘의역’이라는 미명 하게 난도질해버려야 하는 경우가 왕왕 생기는데… 풀리지 않는 딜레마입니다.
!@#… 보라/ 필요시에는 의역도 해야하는 법. 다만 의역은 일종의 지뢰라서, 결국 언제 뒤통수를 칠지 모르는 것… 특히 완결이 되지 않은 시리즈물이라든지, 현대적 맥락이 계속 바뀌는 물건이라든지 하면 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