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이상하게 블로그 동네에 카피레프트 이야기가 늘어나서 반가운 마음에 돌아다녔더니, 그 발아점은 인기 만화작가 강풀이 자신의 작품을 패러디한 만화에 대해서 버럭한 사건. 아아… 실망. 뭐 특별히 어떤 사람에게 실망했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고 (사안 자체의 정치적 이슈나 진짜 해결책이 되었어야 했을 것은 링크한 sonnet님의 포스트에 특별히 덧붙일 말이 없다), 카피레프트를 장려하기 위한 좋은 이슈메이킹이 되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와는 달리, 카피레프트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부족만 재확인한 꼴이라서. 카피레프트에 대해서는 태고적에 썼던 이 포스트 또는 Capcold Copyleft의 공식 안내문를 보시면 되겠고, 좀 더 여력 되시면 위키피디아 항목과 연결 기사들까지 보시길. 여튼 이번 사안에 대해서는, 다른 곳에 리플로 달다가 좀 말이 길어진 내용을 오려붙이는 것으로 대신할까 한다.
!@#… 그냥 계속 간과되고 있는 부분이 있어서 덧붙입니다. 여러 대안 저작권 운동 가운데서도 소위 ‘카피레프트’라고 불리우는 진영은 (그 구체적인 실현형태는 거의 뭐 만드는 사람 마음이지만) 기본적으로 전염적(viral) 속성을 전제로 합니다. 즉 처음의 원저자가 이용 허가에 관해 내린 규정을 계속 확산할 의무가 있고, 그 조건을 채워줄 때에만 그런 식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약속입니다. 예를 들어 “Copyleft 2007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라는 게시물이 있다면, 자신이 거기에 더 수정을 가하든 어쩌든, 여전히 당초의 양허 조항을 그대로 포함해주며 또한 자신의 지분에 대해서도 같은 선언을 할 때에만 이동, 수정, 영리활용에 대한 사용권을 자동적으로 허가받는 것이죠. 그 결과, 창작물의 활용은 축적이 되면 될 수록 더 자유로운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또다른 강력한 장점이 있는데, 제대로 이 과정이 지켜지면 바로 창작과정이 역시 제대로 기록이 된다는 것입니다. 누가 원래의 창작을 했고, 누가 어떤 부분을 더했는지 버젼 히스토리가 남게 됩니다(특히 프로그래밍에서는 엄청나게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죠). 말인 즉슨, 카피레프트는 본연적으로 저작인격권을 존중합니다. 저작인격권 보호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라이센스 부분을 지맘대로 삭제하고 사용하면 그건 카피레프트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그냥 저작권법상의 잣대로 따질 수 밖에 없습니다.
!@#… 즉 엄밀한 의미에서 애초에 이번 강풀 사건은 카피레프트의 기본 축에도 들어가지 않습니다. 가져가서 패러디를 만들었다는 그 분이 강풀의 만화를 카피레프트로서 활용을 하지 않았는걸요 (소스 표시, 카피레프트 규정 표시가 전혀 없습니다). 결국 그냥 정치 패러디로서 저작권법상의 정당한 인용에 해당되느냐 마느냐의 문제일 뿐입니다. 아 물론 저는 그 작품이 풍자적 목적이 뚜렷하고 원작과 뚜렷하게 구분지을 수 있으며 새로 만들어진 의미가 주가 되는 정당 인용에 의한 2차 창작물이라고 판단합니다만.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잘 만들었다고는 보지 않고 정치적 입장도 크게 다르지만, 어쩌겠습니까. 다양성을 존중해야지.
하나 더.
!@#…사실 요지는 의외로 간단합니다.
(1) 강풀은 그냥 자유롭게 가져다쓰라는 의미로 별 생각없이(!) 카피레프트라는 용어를 가져다 썼을 뿐입니다. 각 작품에 부착하는 카피레프트 문구에 원저자 및 세부 제한 조건을 뚜렷하게 명시한 적도 없으니까요. 게다가 가져다 쓰신 그 패러디 작품 주인도 별로 카피레프트에 입각한 사용을 염두에 두지 않았습니다. 즉 애초에 이 사건 자체는 카피레프트와 별반 관계가 없죠. 그냥 저작권법상 패러디의 적법성 이슈일 뿐입니다. 당사자들이 뭐라고 생각하고 주장하든 말이죠.
(2) 그렇기 때문에, 강풀이 패러디 작품의 작가에게 역성을 낸 것 역시 특별히 카피레프트의 잣대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표명한 카피레프트를 어겼다는 것이 아니라, 그냥 패러디가 마음에 안들었다, 자기 명예에 먹칠했다는 것이었으니까요. 시사적 이슈를 다루는 만화가가 공격적 패러디와 풍자에 대한 맷집이 그렇게까지 부족하다는 것은 참으로 찌질한 일입니다만, 저작권자로서의 권리를 주장하고 싶다면 뭐 주장 못할 것도 없습니다. 다만 제 소견은 앞서 밝혔듯, 저작권법의 잣대로 가면 정당한 범위의 패러디로 판명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물론 실제로는 패러디하신 분이 버로우해버렸지만 말입니다. 하지만 좀 더 독한 분이였다면 강풀의 카피레프트에 대한 얇은 이해까지 같이 세트로 패러디하는 의미에서, “라이센스랑 원작자만 표기해서 다시 뿌렸”을지도 모르죠. 다만 현재는 원저자가 정말로 “내 만화인 것 처럼 돌아다닌 것이 문제였다” 라는 쪽으로 표명하고 있는데… 결국 “사람들은 나를 정말로 그런 정치적 입장으로 돌변할 만한 위인으로 생각한다”라고 주장하는 꼴이 되어버렸죠. 한 번 경솔하게 버럭했다가, 소인배로 낙인찍힐 직행코스로 접어들고 있는 케이스입니다.
!@#… 인격 모독이 아니라 견해의 차이라면, 자신에게 불리하거나 때로는 모욕적인 것들도 호기롭게 받아들이는 대인배가 되자. 금전적 손해라면 버럭해도 무방. (핫핫) 여튼, 다음에는 카피레프트가 진짜 카피레프트 이슈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원할 따름.
— Copyleft 2007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Pingback by capcold님의 블로그님 » Blog Archive » 대안저작권의 방향성, 돈문제를 직시하기
[…] 2009년 포르노 저작권 침해 사건 당시 꺼낸 ‘이해 관계’ 기반 해설 – 카피레프트에 대한 편견 – 한미FTA와 저작권 – 2007년 저작권 개정 당시 해설: 패닉 금물, 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