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 지난 인터넷주인찾기 컨퍼런스에서 ‘블로그’를 이야기했고, 일종의 연장선상에서 최근 이정환님이 블로그로 흥했으며 현재는 NYT보다 페이지뷰가 많다는 뉴스매체인 ‘허핑턴포스트’를 언급하셨다. 그리고 @gorekun님 등 몇몇 인주찾기 동인분들의 대화도 오가고. 그래서 생각난 김에, 이전부터 조금씩 갈겨놓았던 메모에 약간 몇마디 추가한 것을 그냥 몇가지 적어 놓는다.

!@#… 허포의 성공은 어느 하나가 아니라 (최소한) 3가지 요인의 교집합에서 발생했다고 본다.

1) 품질관리된 시민저널리즘(유명인/전문가들의 블로그글, 게시판글 기사화 외)
2) 노출최적화(소셜추천+검색엔진)
3) 애그리게이션(다른 주요 언론기사들을 재빨리 요점만 ‘요약 소개’하는 식).

그리고 이 요소들은 각각 1′)매력, 2′)유통력, 3’)효용성이라는 역할을 충족하고 있다.
그것들이 중요한 것은 매력은 1”)인지도를, 유통력은 2”)노출을, 효용성은 3”)사용을 끌고오기 때문이다(그런 의미에서, 가장 폼새는 나지 않지만 성공에 역할이 컸던 것으로 자주 꼽히는 특징은 바로 애그리게이션이라고 볼 수도 있는데, 그 이야기는 다른 기회에).

사실 각각의 요소들은 한국서도 꽤 해봤고 각각의 성공을 거둔 것들이다. 1)유명인/전문가의 블로그글스러운 – 즉 학술문이나 언론기사의 정형을 다소 벗어나더라도, 자기 아는 바에 대해 솔직하게 써내리는 – 기고문을 유치하여 히트치는 것? 오마이뉴스에서 노통 탄핵국면 당시 도올 글을 기억해보자. 당시에 화제성도 대단했고, 특히 자발적 원고료가 쏟아진 덕에 국제 언론학계에서 지금까지도 종종 인용되고 있다. 아니면 게시판 등 참여형 글공간에 올라온 쓸만한 콘텐츠를 기사로 끌어오는 방식? 딴지일보에서는, 게시판이 달린 90년대 후반의 나날 이래로 주욱 주요 원고수급 방식 중 하나다. 2)노출최적화는, 성공적 온라인뉴스 사이트라면 누구나 하는 것. 다만 한국의 경우 검색엔진이 아니라 포털 뉴스란 엔진이 그 대상이라서 태그 조절과 링크 유도가 아니라 검색어 낚시에 더 특화되었지만 말이다. 3)요약보고형 애그리게이션의 힘이야, 주류 언론들이 오히려 증명해준다. 대형언론들이 체면도 없이 마구 시전하면서 정작 원래 기사를 썼던 매체소스로는 링크 하나 안 이어주는 양아치질 말이다. 남의 특종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서 “**에 의하면” 한마디만 넣어주고는 마음껏 자기 기사처럼 포장해 버리기가 그리 흔한 이유는, 짧고 결론만 있는 그런 식이 은근히(아니 당연히) 수요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허포는 이런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모두 동원하고, 특히 당대에 ‘핫’한 매체 트렌드를 계속 수용하며 발전해왔다. 리버럴판 드러지리포트나 다름없어 보였던 최초 컨셉과 달리, 계속 틀거리가 발달해갔다. 출범한 05년 무렵 한창 익었던 블로그’붐’에는 사장(아리아나 허핑턴)이 인맥으로 동원한 유명인사들에게 블로깅을 시켜서 블로그 콘텐츠를 중앙배치하고, 남의 뉴스 어그리게이션을 해주며 폭발하는 뉴스 앞에 유용한 정보를 필터링해주는 듯한 안식처를 제공했다. 그런 기능들이 페북-트위터 붐을 타고 SNS들로 일정부분 넘어가는 국면에서는, 또 SNS를 통한 추천과 아웃리치를 냉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개인적으로는, 얄궂게도 거의 정반대 사례가 오마이뉴스라고 본다. 시민기자라는 선진적 모델로 00년에 시작했지만, 갈수록 자기 역할을 ‘새로운 뉴스 매체’라기보다는 ‘대안 신문’으로 정립한 경우다. 언론지면을 제공할테니 시민들은 기사를 달라는 방식으로 시작했는데, 그 후 수년 뒤 새로 등장하는 트렌드들에 늘 소극적이었다. 개인 매체의 조합이라는 블로그 시대에 걸맞는 시스템을 새로 만들어내지 않고 상근 기자 기사만 늘어났다. SNS붐에도 역시 그것을 활용해서 무언가를 하려는 모습은 미미한 채로, 10만클럽 캠페인 같은 한층 구식 방식으로 회귀하고 말이다 (이 역시 자세한 이야기는 언젠가 다른 성격의 글로, 다른 지면에).

기억해야할 것은, 허포의 현재 방식이 모두들 따라해야할 바람직한 모델이냐하면, 또 그렇지는 않다는 점이다. 시민저널리즘 품질 관리는 자의적으로 협소해지기 쉽우며(허포는 설립자의 방대한 기존 인맥 덕에 이 문제를 초반에 대체로 비켜갔던 것 뿐이다) 결국에는 정당한 금전적 보상지급을 필요로 한다. 노출최적화는 모방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한 걸음만 더 나아가면 늘 레드오션이다. 애그리게이션은 기본적으로 업혀가는 것이라서, 논란 많은 파생품이다(최근에 또 불거진 문제 사례: AdAge). 허포의 향후 방향성이 어찌될지는 뚜렷하지 않은 것이, 이제는 AOL 산하 즉 대기업 오너십 체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허핑턴이 AOL 뉴스미디어부서의 보스가 되어 편집 자율을 보장받았다 해도, 명백한 대기업 프로젝트가 된 상태에서 선의로 공짜 블로그 글을 공급할 필자들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 어그리게이션은 원래 민감한 영역이며(따지고보면 애초에 미국권 블로거들이 그런 식의 ‘자기 코멘트 달아놓은 뉴스 소개’를 유행시켰다) 전문분야 단위로 그런 것을 훨씬 덜 논쟁적으로 더 잘하는 경쟁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허포의 자세를 보면, 새로운게 나올 때 그것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최소한 게을리하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 그렇기에, 허포를 참조한다면 허포의 현재 모델을 복제하는 것 보다는, 당대에 가장 대두되는 스윗 스팟을(예: 전문가 블로거, 온라인 노출의 기술, 정보 큐레이션의 교차점) 탐구해서 계속 새로 적용해내는 종합적 기획력 자체를 본받는게 낫다는게 작은 결론.

…써놓고 보니 전개방식이 딱, 10분짜리 PT발표 시나리오다. OTL

Copyleft 2011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 <--부디 이것까지 같이 퍼가시길]

Trackback URL for this post: https://capcold.net/blog/7211/trackback
34 thoughts on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Trackbacks/Pings

  1. Pingback by Nakho Kim

    [캡콜닷넷업뎃]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 성공 단상 http://t.co/QZFpPfk | 액면 성공 요인들 각각은 한국서도 성공을 거둔 것들이었어나, 문제는 결합과 적응.

  2. Pingback by 뗏목지기™

    [캡콜닷넷업뎃]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 성공 단상 http://t.co/QZFpPfk | 액면 성공 요인들 각각은 한국서도 성공을 거둔 것들이었어나, 문제는 결합과 적응.

  3. Pingback by xmio

    [캡콜닷넷업뎃]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 성공 단상 http://t.co/QZFpPfk | 액면 성공 요인들 각각은 한국서도 성공을 거둔 것들이었어나, 문제는 결합과 적응.

  4. Pingback by 임현수, Matthew Lim

    [캡콜닷넷업뎃]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 성공 단상 http://t.co/QZFpPfk | 액면 성공 요인들 각각은 한국서도 성공을 거둔 것들이었어나, 문제는 결합과 적응.

  5. Pingback by kimmina

    [캡콜닷넷업뎃]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 성공 단상 http://t.co/QZFpPfk | 액면 성공 요인들 각각은 한국서도 성공을 거둔 것들이었어나, 문제는 결합과 적응.

  6. Pingback by 이정환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7. Pingback by Park hun woo

    [캡콜닷넷업뎃]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 성공 단상 http://t.co/QZFpPfk | 액면 성공 요인들 각각은 한국서도 성공을 거둔 것들이었어나, 문제는 결합과 적응.

  8. Pingback by 제노(JangHyun Choi)

    [캡콜닷넷업뎃]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 성공 단상 http://t.co/QZFpPfk | 액면 성공 요인들 각각은 한국서도 성공을 거둔 것들이었어나, 문제는 결합과 적응.

  9. Pingback by yong young kim

    매우 좋은 분석. 일독 권함. “@leejeonghwan: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t.co/2xInlJe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fb

  10. Pingback by Nolboo Kim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j.mp/oIrU1S @capcold 님 좀 길더라도 속시원히 한방 블로깅 부탁합니다^^

  11. Pingback by 한정일

    RT @n0lb00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j.mp/oIrU1S @capcold 님 좀 길더라도 속시원히 한방 블로깅 부탁합니다^^

  12. Pingback by 이준석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j.mp/oIrU1S @capcold 님 좀 길더라도 속시원히 한방 블로깅 부탁합니다^^

  13. Pingback by 지팔마

    [캡콜닷넷업뎃]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 성공 단상 http://t.co/QZFpPfk | 액면 성공 요인들 각각은 한국서도 성공을 거둔 것들이었어나, 문제는 결합과 적응.

  14. Pingback by 신선균

    RT @n0lb00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j.mp/oIrU1S @capcold 님 좀 길더라도 속시원히 한방 블로깅 부탁합니다^^

  15. Pingback by Seongkeun Jeong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t.co/NKkhvuM via @capcold

  16. Pingback by Nakho Kim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t.co/NKkhvuM via @capcold

  17. Pingback by Largosundayafternoon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t.co/NKkhvuM via @capcold

  18. Pingback by Jungwook Lim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19. Pingback by 류승택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20. Pingback by 고중걸(Goh, Jung-Geol)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21. Pingback by yjmin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22. Pingback by Nakho Kim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23. Pingback by a.k.a Kacew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24. Pingback by Ashal aka JOKER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25. Pingback by 한종호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26. Pingback by jong chul, Ryu

    “@leejeonghwan: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t.co/OuCEOfQ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고.”

  27. Pingback by capcold님의 블로그님 » Blog Archive » 트위터백업 2011년 7월 4주까지: 선거법, 만화과, 유인촌설화, MBC

    […] 성공 요인에 정 반대되는 사례가 오마이뉴스라는 @capcold님 말씀. http://capcold.net/blog/7211 변화를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고 […]

  28. Pingback by MIDORI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t.co/INQmcIW via @capcold

  29. Pingback by zagni's me2day

    자그니의 생각…

    capcold님의 블로그님 » Blog Archive »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30. Pingback by mojito (모히또)

    RT @midorijung: 온라인 언론이라면 적극적 적응이 필수: 허핑턴 포스트의 (아직까지) 성공 단상. http://t.co/INQmcIW via @capcold

  31. Pingback by 미도리의 온라인 브랜딩

    미국 뉴스 사이트 1위, 허핑턴 포스트의 성공 비결…

    미국 뉴스 사이트 1위는 워싱턴포스트, CNN, 월스트리트저널, LATimes, 뉴욕 타임즈도 아니다. 바로 블로그 뉴스 미디어인 ‘허핑턴 포스트’다. 허핑턴 포스트는 지난 5월 한달 동안의 순방문자(unique visitors) 수가 3천560만 명을 기록했다. 3천360만 명인 뉴욕타임즈(NYTimes.com)를 누르고 미국 주요 뉴스 사이트 중 가장 많은 순방문자 수를 기록한 것이다. 관련 리포트: Huffington Post의 소셜 미디…

Comments


  1. 오마이뉴스에 대해서는 왜 이렇게 되었나 궁금한 점이 참 많습니다.
    조만간 자세한 얘기를 들을 수 있으면 좋겠네요. 잘 읽었습니다.

    그나저나… 이제 PPT를 내놓으실 차례이십니다. (…) :)

  2. 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동거, 그리고 대안미디어에 대한 모델을 고민하고 있는 터라
    너무나도 좋은 타이밍에 좋은 글을 읽었습니다. :)

    허핑턴의 2)안에 대해서는 기술적추월이 가능한 부분이지만, 1),3) 특히 1번 항의 경우
    사안에 따라 데스크에서의 편집의 영역을 어디까지 두느냐의 이슈도 있을 듯 싶습니다.
    과연 이 모델이 국내에서 통할지도 이슈겠구요.

  3. !@#… 뗏목지기님/ 각종 사료를 쪼개보려면, ‘조만간’은 아무래도 힘들겠지만요(핫핫).

    제노님/ 이상적으로는, 기사 보급에는 비교적 자율적이고, 정정/책임에는 엄격한 데스킹이 필요한데 그게 참 한국의 조직문화에서 꽤 난관이 많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