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본, 유럽에 발표된 한국만화의 반응 [image 웹진 1호]

!@#… 커피프린스 간지 사장의 펜트하우스로 유명한(-_-;) 서울애니센터에서 최근 발간하고 있는 웹진 ‘Image’ 창간호에 실린 글(원문 클릭. 연결된 다른 글들과 같이 보면 더 좋다). 제작자 미르*님에게 안그래도 팍팍한 인간이 쓴 팍팍하고 긴 글이니 가급적이면 이런 저런 이미지를 좀 깔아주십사 부탁을 드렸으나(라고 하면서도 정작 스스로는 도판을 넘기지 않았다), 결국 여차저차 팍팍 itself로 나갔다. 여튼 제한된 분량에서 너무 이야기가 많아서, 세부 데이터보다 전체 판도 개요에 집중. 한 2년 쯤 전에 정책 보고서의 일부로 넣었더라면 훨씬 더 도움이 되었을 법한 내용의 글인데… 뭐 지금이라도 그리 늦은 건 아닌 듯.

한국만화의 해외 진출 둘러보기: 미국, 일본, 유럽에 발표된 한국만화의 반응

– 김낙호 (만화 연구가)

1. 들어가는 글

이렇게 한국만화의 해외진출 상황에 대한 공식적인 글을 쓰게 되다니, 격세지감이 느껴지는 일이다. 사실 한국은 1960년대 이래 ‘수출 지상주의’를 표방해 왔지만, 문화산업 분야에서만큼은 해외진출이 늦게 시작된 편이다. 질서정연함만을 강조하던 군사문화적 획일성으로 문화산업의 근간인 대중문화를 삐딱하게 보던 1960∼70년대야 그렇다고 치자. 하지만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대중의 반감을 유화하기 위해 시작된 5공의 우민화정책이라는 호재(?)를 만나서 대중문화가 급격하게 부흥하게 된 1980년대, 그리고 정치적 민주화가 대중문화의 풍성함을 앞당겨준 1990년대에도 한국의 대중문화는 여전히 국내용이었다. 90년대 말쯤 되어서야 비로소 해외진출 사례가 하나씩 눈에 띄기 시작했고 ‘한류’라는 표현이 탄생하기에 이른다. 지금은 다시금 분위기가 가라앉았지만, 어쨌든 그런 숨 가쁠 정도의 변화가 고작해야 지금으로부터 몇 년 전까지 일이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대중문화 상품 수출에 대한 의지가 있었을지언정 경험도 지식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특히 한국만화의 경우에는 최근 수년간 시장침체가 계속되고 있고,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해외 수출에서 돌파구를 찾아보려는 경향이 있는데, 단순히 계약 몇 건에 얼마 벌었다는 식의 이야기보다는 한국만화가 과연 제대로 해외 독자들과 만나고 있는지, 문화적 영향력을 얻고 있는지 등에 대한 폭넓은 점검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국만화는 과연 전 세계에 뻗어나가고 있는가? 아니, 애초에 그럴 필요가 과연 있는가? 뻗어나갔다면 어디의 누가 읽는다는 것인가? 해외진출을 함으로 해서 정말로 돈이 들어오고 작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는가? 더 나아가 과연 어디까지가 ‘한국’ 만화인가? 이런 것들을 점검해보지 않고서 한국만화의 해외진출을 얘기하는 것이 얼마나 알맹이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미국 만화계, 한국 만화 [만화정보 0702]

!@#… 부천에서 발간하는 종이소식지 ‘만화정보’에 실린, 한국만화의 미국 만화판 진출 패턴에 관한 정리. 수박 겉에 침바르기 수준으로 개요만 풀어낸 정도지만 (예를 들어, 한때 이현세 만화 출판 건 덕분에 한국언론에서는 엄청난 곳처럼 포장해주었던 CPM 정도는 과감히 생략), 약간은 현재 미국의 분화되고/변화하고 있는 만화판 상황 속에서 한국만화, 만화가를 한번 생각해볼 기회가 될 수도. 아니면 말고.

미국 만화계, 한국 만화

김낙호(만화연구가)

한국 만화가 미국 만화계에서 자리잡는 방식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선 가장 쉬운 구분은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만화를 미국에서 번역 출판하는 것, 또는 한국의 만화가가 미국의 출판사에서 만화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런데 앞의 경우야 그렇다고 치더라도, 사실 뒤의 경우는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약간 더 경우의 수가 많아진다. 한국에서 미국에서 출판하기 위한 창작 스튜디오를 만든다면? 분업화되어 있는 미국의 만화 스튜디오 특성상 데생 등 특정 작업만 전담해서 수행한다면? 혹은 아예 작가와 작품의 국적 자체도 애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국의 만화가인가? 한국에서 태어났으나 미국에서 교육을 받고 미국식 만화를 그린다면 그 작가는 한국작가고 작품은 한국만화가 되는 것일까. 또한 미국식 만화와 한국식 만화의 차이는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 한번 간단하게, 한국만화가 미국 만화계에 들어온 방식들을 훑어보는 기회를 마련해보도록 하겠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위스컨신대 동아시아 연구 강좌에서 한국만화 특강하다.

!@#… 위스콘신대학 Communication Arts 학과의 강인규 선배님이 강의하는 학부생 강좌 East Asian Studies, 한국 대중문화 스페셜. 이번 주 토픽인 ‘한국만화’ 세션을 초청강연. 오랜만에 강단에 선 것으로도 모잘라 영어로 하려니 가히 난이도가 좀 있었음. 뭣보다, 실없는 농담 섞어넣기가 쉽지 않아서…(어디까지 농담으로 받아주고, 어디서부터 모욕으로 받아들일지 아직 가늠하기 어려우니까). 여튼 그래도 적당히 무사히 지나간 듯.

전에 앙굴렘 당시와 마찬가지로, 외국의 초심자들에게 한국만화를 선보이는 capcold식 정석은 한국만화의 역동적이고 다양한 지형을 통째로 던져주는 것. 어안벙벙하게 퍼억 충격을 준 후, 알아서 각자 천천히 수습하면서 관심을 찾든지 깡그리 잊든지 하도록 만드는 방식. 어차피 짜잘하게 대가 몇명 붙잡고 원화나 구경시켜주는 방식은 재미없으니까. 그래서 고작 한 시간 안에, 1) 한국만화의 세계적 맥락. 세계만화권역, 아시아권에서 만화와 망가의 관계 등등 한국만화라는 범주를 이야기하는 이유. 2) 한국에서 만화의 역할, 산업, 장르 등. 3) 사회사와 밀접하게 결부되어온 한국만화 발전사. 4) 한국만화 해외교류의 특성. 5) 덤으로 애니메이션(‘움직이는 만화’) 이야기까지. 너무 정보량이 많아서, 듣고 있어야 했던 학생들에게 약간은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다. 아니 사실은 하나도 안 미안하지만. -_-;

!@#… 강의 녹음은 파일 받고 먼저 들어본 뒤에 공개여부 결정. 즉, 정말 바보같고 버벅댔으면 곧바로 역사의 뒤안길로. 뭐 하지만 PT 파일은 여기 바로 공개하도록 하겠다. 위의 첨부파일 클릭. 당연히 영어지만.

!@#… 한국만화에 대한 깔끔한 영어 자료를 만들어 공개해야겠다는 생각이 한층 더 강해졌다. 콘진이나 만협서 하겠다고 하는 작품 포트폴리오 뭐 그런 것 말고, 그런 곳에서는 (당혹스럽게도) 아직까지도 전혀 신경도 안쓰고 있는 듯한 영역인 말 그대로 ‘한국만화라는 것 자체에 대한 비평적 설명’. 우선 앙굴렘 때 썼던 것들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영문 홈피로 공개를… 하려면 근데 어서 capcold.net 을 정비해야 할텐데. 과연 어느 세월에?

 

— Copyleft 2006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서구만화, 한국을 방문한 이후의 이야기들 [만화규장각 웹진/0410]

!@#… 부천 만화정보센터 만화규장각(http://www.kcomics.net) 웹진 커버스토리용으로 기고한 글. 기고 버젼은 밑의 주소 (로그인 필요). 당연히 다른 꼭지들과 맞물려서 좋은 이야기들이 많기 때문에 (게다가 도판도 있고) 가서 읽기를 추천함.

!@#… 보통 그렇듯이, 여기 올리는 건 애초에 기고한 버젼. 사실 벌써 일이년전에 했어야 할 이야기인데 자꾸 미루고 미루다보니 이제서야..;;;

=================================

서구만화, 한국을 방문한 이후의 이야기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