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근히 이런 거 잘 찾는 모 후배(얼굴 나이로는 스승급)의 따끈따끈한 제보. 청와대 사이트에서 배포하는 공식 대통령 메시지 월페이퍼 달력에는, 사실은 다빈치코드와 푸코의 진자를 넘어서는 엄청난 비밀이 숨겨져 있었던 것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Tag Archives: 영어
좋은 영어는 없다
!@#… 모든 열풍들이 그렇듯 영어 열풍 역시 참 오묘해서, 실제 영어의 중요성이니 하는 것 보다 다들 영어가 어찌된다느니 하고 떠들어대는 결과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영어열풍 ‘프레임’이 더 막강한 힘을 발휘한다. 비판하든 찬성하든 너도나도 영어열풍을 이야기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열풍은 점점 더 커지고, 그 결과 틈만 나면 아무때나 영어 생각으로 머리가 가득해지노니…
영어고 자시고, 공교육이란 말이다
!@#… 그들의 천박한 영어 인식을 가지고 놀려먹는 것도 물론 재미있지만, 이번에는 공교육의 영어교육이라는 것 자체에 대한 약간의 사담. 영어를 잘한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은 없이 그저 “영어를 잘하게 한다”는 명제를 지상과제처럼 내놓은 인수위 떡밥을 보면서, 그리고 아마도 그것이 한국사회 일반에 만연한 집합적 교육관의 캐리커쳐일 것이라는 짐작 속에서, 평소 생각해온 한 두가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버스 스톱 스모킹
!@#… 하루를 웃으며 시작하는 것은 건강에 참 좋은 일이다.
서울시 `금연정류소’에 엉터리 영어표기[연합뉴스/2007-06-03]
(그런데 이 기사는 안정원 기자의 단독 기사 – ‘끝’ 표시가 되어있다 – 아래에, 박성진 기자의 기사가 들어간 이상한 포맷. 요새는 이런 식의 협업(?)도 통용되나보다… 신기한지고.)
!@#… 짐작하건데, 아마 “Bus stop 에서는 Stop smoking 해달라”는 컨셉으로 나름대로 카피라이터가 머리 쓴 듯. 다만 그 결과 Bus stop smoking이라는 안습의 표어가 탄생. 기사에도 나왔지만, 도대체 어느 나라 말이냐… OTL 아니 애초에 stop smoking만 하더라도 금연지역이라는 뜻이 되는게 아니라 담배 좀 끊으라는 뉘앙스가 되지만. stop은 하던 걸 멈추라는 말이니까… 즉 “너는 이미 피고 있다!”(켄시로 버전) 라는 전제가 깔리는 셈. 처음부터 피지마, 라면 허용과 금지의 의미에서 ‘no smoking (is allowed)’. 대략, 중학교 영어 교과서 진도 쯤 되겠다.
!@#… 이런 걸 무려 통과시켜준 서울시 담당 공무원들의 영어실력이 capcold에게 훈훈한 감동을 안겨준다고나. 항상 하는 주장이지만, 전 국민에게 영어를 고만고만하게 가르치려고 삽질이나 하지 말고(그 극단에 서 있는 것이 바로 영어공용화론), 영어를 제대로 해야할 자리에 영어를 확실하게 제대로 하는 사람들이 들어가 있도록 집중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니까. 아니 애초에 잘 하지도 못하면 영어 남발이나 좀 하지 말거나. 하나도 멋 없어! 별 도움도 안돼! 천박해! 하지만… 웃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copyleft 2007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소통으로서의 논문 쓰기에 관한 잡설[서울대 사이버문화 2007-1학기]
!@#… 서울대 정보문화학 연합전공의 2007년 1학기 강좌 ‘사이버문화’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영어논문 지도에 참여한 후, 학기말에 제작한 자료집에 간단한 작업소감 겸 덕담(?)을 의뢰받아 쓴 글. 항상 그렇듯, 이런 기회에 나 자신의 생각을 한번 정리해 볼 수 있게 된다. 비단 논문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진지한 사실에 근거한 논설문” 쓰기에 해당될 수 있으리라.
[후기] 소통으로서의 논문 쓰기에 관한 잡설
김낙호 (위스콘신대 언론학과 박사과정 / 영어논문 에디터로 참여)
솔직하게 말해서, 영어로 논문을 쓴다는 것은 참 귀찮은 일이다. 특히 한국의 사례를 연구하는 논문이라면, 더욱 그렇다. 고유명사의 영어 표기 같은 자잘한 문제야 그렇다고 치더라도, 한국말로 표현하기도 어려워 죽겠는데 무려 영어로 옮기기까지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압박감은 거의 두려움의 대상이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왜” 굳이 영어로 써야 하는가에 대한 회의 그 자체다. 어차피 한국의 사례에 대해서 한국인들이 보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째서 영어로 스스로를 자학하는가. 사실, 이것은 자연스러운 귀찮음이고 당연한 회의적 반응이다. 이런 저런 글을 좀 더 많이 써본 편이고 현재 미국에 유학까지 나온 상태의 필자라고 할지라도, 정도 차이는 있지만 뇌리 한 켠에 항상 간직하고 있는 침투적 사고다.
그래도 영어로 쓰는 이유, 영어로 쓰는 방법을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는 바로 소통 때문이다. 연구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소통량에 따라서 그 가치가 결정된다. 더 넓고 깊고 다양한 층위와 성향의 동료 연구자들에게 소통이 될수록, 그래서 학문적 지식체계라는 커다란 사회적 집단지성의 연결망 속에 놓여진 보다 크고 강력한 노드가 될 때 연구는 효과적으로 자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어로 연구논문을 쓰는 것은 한국학계의 영미권 학문에 대한 종속이나 사대주의적 타협이 아니다. 바로 내 연구가 보다 더 중요한 지식으로 기능하고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발적인 소통 의지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