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화 명작 100선 발표, 그리고 c모의 추천작들

!@#…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서울신문이 함께 진행한, [한국만화 명작 100선] 공식 발표. 상당히 많은 분들이 선정에 참여하신, 지금 시점에서 나올 수 있는 목록으로서는 꽤 대표성이 있다고 볼 만한 프로젝트. 작업 진행해주신 담당자분들께 박수를. 전체 목록과 개요는 여기로: (서울신문), (만화규장각 매거진 1, 2) (*그런데 어째서 두 곳 모두, 목록을 긁어낼 수 있는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로? OTL)

…그리고 명단에서 볼 수 있다시피 c모 역시 전문가 선정인 중 하나로 참여. 그렇기에 내가 내린 선택들에 대해서 약간 더 자세히 설명을 여기 따로 남겨둔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트위터백업 2012년 4월 3주까지: 프레이밍, 진영논리, 언론파업, SNS, 웹툰 외

!@#… 떡밥 단편들의 북마크와 간단멘트 기록용 트위터@capcold, 그 가운데 새글 알림과 별 첨가 내용 없는 단순 응답 빼고 백업. 가장 인상 깊은 항목을 뽑아 답글로 남겨주시면 감사(예: **번). RT로 시작하는 항목은 내 글이 아니라 그 분 트윗의 RT(재송신).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만화로 돈을 벌자: (번외편) 웹툰 검열 국면에 관하여 [만화규장각 칼럼]

!@#… 지난 호 원고라서 아직 만협-방통위 자율규제 업무협약이 나오기 전 기준의 글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내용은 이제부터 오히려 더 중요해질 것들. 특히 종 다양성 개념을 매우 강조하고 싶은데… 뭐 만화한류나 (유통경로로서의) 생태계 등의 반짝이는 버즈워드들보다는 덜 매력적이겠지. 게재본은 여기로.

 

만화로 돈을 벌자: (번외편) 웹툰 검열 국면에 관하여

김낙호(만화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