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비쥬> 폐간에 관한 (정말) 짧은 소감

!@#… 소식을 들은 것은 모처, 어제 오후였다. 하지만 공식 발표가 나오기까지는 기다려보자…라고 생각했는데, 간밤에 오만가지 블로그에 다 소식이 올라와있더군…무서운 세상, 빠른 세상, 한국 세상.

…어제 시공사의 내부 결정에 의하여, 잡지 폐업. <오후>, <비쥬> 폐간. 기타 이런저런 만화캐릭터사업팀 구조조정 단행.

!@#… 앞으로 태어날 잡지들이 더욱더 멋진 모습으로 대성공을 해서, 이 날의 당혹감을 한낮 가십꺼리로 전락을 시켜주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제발, 부탁이다.

한국만화 안보기 운동…커헉

!@#… 가끔, 개그로 의도하지 않았어도 폭소를 유발시키는 엄청난 재능의 소유자들이 있다. 특히 스스로는 굉장히 절박한 상황에서 엄청 진지한 이야기를 한답시고 하는데, 그게 정말로 ‘깨는’ 경우들이 있다. 본인들에게야 미안한 일이지만, 그런 어림반푼어치같은 상황 속에서 웃음을 터트리는 건 불가항력이다. 그래도 초인적인 의지를 발휘해서 웃음을 참아야할 도덕적 상황이 있을 수는 있지만, 가끔 그 한계도 초월해버리는 강력함도 발생한다. …아…말이 길었다. 그러니까, 이런 거다.

…여러분이 강력한 이성의 소유자라서 세번째 결의사항까지 웃음을 참으실 수 있었더라도, 네번째인 ‘독자들과 연대해서 한국만화 안보기 운동 돌입!’ 에서까지 견디실 수 있을지…

!@#… 국회가 개판이니 국회를 없애자고 진지하게 분개하는 멍청이들이나, 국민연금이 문제가 많으니 국민연금을 없애자고 촛불시위까지 하고 나서는 머저리들 등과 얼추 비슷한 부류라고 보면 되겠지? 사회적 기능상의 명분이 확실한 사안에 대해서는 땡깡이 아닌 개선과 협상으로 자신들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 상식일터인데… 굳이 capcold라는 인간이 대여권 법제화가 포함되는 저작권법 개정을 위한 작업에 참여했기 때문이 아니라도, 이 정도 바보짓이라면 바보짓으로밖에 보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2000년대식 소통의 풍경: 유시진의 <온> [경향 ‘만화풍속사’]

2000년대식 소통의 풍경: 유시진의 <온>

  역설적이지만, 우리들에게 가장 일상적인 풍경이란, 일상적인 삶의 방식 자체까지 후다닥 바뀌는 것이다. 이런 사실을 가장 뼈져리게 느낄 수 있는 분야 가운데 하나는 사람과 사람이 기술을 매개로 하여 소통을 하는 방식, 즉 통신이다. 십수년전에 만들어진 <영웅본색>같은 영화를 비디오로 볼 때, 조직의 간부가 은퇴한 적룡을 조직으로 다시 불러들이기 위해서 당시에는 부와 명예의 상징이었던 휴대폰 – 아니 이건 숫제 대청마루 디딤돌이다 – 을 건네주는 장면을 보면서 실소를 터트리는 것이 자연스러운 세상인 것이다.

  <마니>, <쿨핫>등의 작품들로 강력한 팬층을 형성한 만화가 유시진은 소통이라는 문제를 중심소재로 사용해 왔다. 사람들간의 근본적 차이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벽, 그 것에 다시금 안주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종종 매우 덤덤하고 소극적인) 노력. 이러한 모티브들이 작가 특유의 차갑고 경직된 화풍 속에서 반복된다. 순정잡지 ‘오후’에 연재중인 그의 작품 <온>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주인공들, 그리고 어쩌면 그들의 전생이었을지도 모르는 환타지 세계의 이야기가 교차하는 만화다. 현대의 주인공 중 한명인 제경은 직업이 환타지 소설가인데, 이것은 소통이라는 하는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의미심장하다. 우선 한국에서 환타지소설 작가라는 직업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배경은 90년대 중반의 PC통신 소설 붐이다. 통신공간 속에서 젊은 세대는 출중한 장르적 상상력과 공개 게시판에서 펼쳐지는 연재에 갈채를 보냈다. 나아가 작가와 독자, 현실과 환상 사이의 간극은 여러 의미에서 점점 더 좁아졌는데, 통신이 아닌 전통적인 종이 출판물의 형태로 나오는 경우까지도 그 경향은 계속 확산되었다. 다소 비약해서 말하자면 주인공의 직종 자체가 90년대 이후의 소통방식, 통신문화의 상징적인 존재인 셈이다.
  그리고 약간의 시간이 더 지난 오늘날, 환타지 소설가인 주인공이 컴퓨터로 원고작업을 하다가 인터넷에 연결해서 메신저로 친구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은 일상적인 풍경이 되었다. 90년대 후반까지만해도 여러 만화작품에서 볼 수 있었던 삐삐가 핸드폰으로, 나아가 이 작품속에는 CDMA2000 방식의 폴더형 휴대폰으로 바뀐 것도 시대의 풍속도다. 하지만 동시에, 주인공 제경은 여전히 자신이 진짜로 관심이 가는 대상에 대해서는 술을 사들고 집으로 쫒아가서 직접 대면하는 고전적인 소통방식을 선호하기도 한다. 그래, 그것이 2000년대를 살아가는 우리 자신들의 모습이다.
  이렇듯 사실 통신기술의 발전은 사람 사이의 소통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기보다는 단지 선택의 폭을 넓혀주었을 뿐이다. 그리고, 사람과 사람이 소통을 하고 싶다는 의지의 핵심은 오늘날도, 아마도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듯 하다. 그 앞에 어떤 난관이 기다리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글 김낙호/만화연구가·웹진 ‘두고보자’ 편집위원)

[경향신문 / 2004. 5. 28]

===============================
(* 주: 원출처는 경향신문 토요 만화 전문 섹션 ‘펀’의 칼럼인 <만화풍속사>입니다. 격주로 박인하 교수와 번갈아가면서 쓰고 있는 일종의 태그팀 같은 것이니 만큼, 같이 놓고 보면 더욱 재밌을 겁니다.)
===============================

— Copyleft 2004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경향신문 주말 만화섹션 <펀> 창간했습니다

!@#… 제목 그대로입니다. 경향신문 주말 만화섹션 <펀> 창간했습니다. 기획단계부터 계속 옆에 붙어온지라 팔이 사정없이 안으로 굽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지만, 이정도로 나와주었으니 아마 다른 신문사에서도 눈에 불을 켜고 뒤따라 만화섹션을 만들려고 하지 않을까… 합니다. 기획입안하고 관철시킨 박인하 교수, 제작실무의 첨단에서 분투중이신 강인선 만화발전연구소의 모든 이들과 경향신문의 관계자 분들 모두 중요한 첫 발을 성공시켜내셨습니다. 축하의 말씀과, 앞으로 좋은 모습 많이 보여줄 것을 기대하는 격려/채찍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어느 마냥 해피한 2004년 5월 22일의 일이었습니다.

 

— Copyleft 2004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만화에서 리얼함이란?

!@#…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겠지만, 현재 일본의 빅 코믹 오리지날 이라는 잡지에는 ‘플루토’라는 작품이 연재중이다. 데즈카 오사무의 ‘철완 아톰(우주소년 아톰)’ 가운데 가장 호평받았던 스토리 가운데 하나였던 ‘지상 최강의 로봇’ 편을 무려 우라사와 나오키가 자신의 장기인 미스테리 스릴러 풍으로 재해석해낸 물건. 몬스터에 등장했을 법한 모양새의 리얼한 형사 나으리가 나와서 내가 바로 로봇 형사인 게지히트다, 라고 선언한 1화에 이어서 최근 나온 8화에서 마침내! 그 순간이 오고 말았다!

 

 

…왼쪽에 앉은 머리가 약간 덜 빗어진 듯한 소년. 이름은 아톰. 별명은 ‘강철주먹(철완) 아톰’. -_-; 뭐 … 그렇다는 것이다.

[펌] 이런 미친…

출처카페 : ■ 방배동 사람들 ■ / 석가

!@#… 출처는 방배동 사람들 -> Stone Age (석정현님 블로그) -> 이곳. 보시고 어이없어지신 분들은, 열심히 퍼다 나르심이 좋을 듯.

 

====================================

제목 귀하의 만화를 좀 쓸려고 합니다.
보낸날짜 2004년 05월 06일 목요일, 낮 3시 09분 17초 +0900
보낸이 “강윤철[Nenia]” <toarnie@nenia.co.kr> 수신거부에 추가 주소록에 추가
받는이 <kangfull@hanmail.net>

안녕하십니까?
귀하의 만화를 부분 퍼서 온라인 전자책을 만들려고 합니다.
형태는 추 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귀하의 사이트에도 무료로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형태를 보시고 나중에 말씀해주십시요.
베타버전 형식이라도 보실려면 연락바랍니다.
요즘 제휴중이라 너무 분주합니다.

감사합니다.
강윤철드림.
===================================
NENIA – Digital Contants Solution

기획홍보팀 실장 강윤철

email_1: toarnie@nenia.co.kr
email_2: help@nenia.co.kr

direct: 050-5259-5259
tel: 0505-898-2367
fax: 0505-898-2349

네니아 http://www.nenia.co.kr
리얼뷰 http://www.realview.co.kr
보아요 http://www.boayo.co.kr
===================================

강풀형이 받은 메일 내용이라고 합니다.

보는 순간 어이가 없어서 미처 허락도 받지 않고 저도 모르게 퍼왔습니다.

미친..

무슨.. 나 참.

강풀형이 전화해서 막 항의했다더군요.

이 사람들 마인드는 ‘만화는 공짜로 퍼지니까 상업적으로도 공짜로 쓰는 것’을 당연히 여기는 모양.

가장 가관은

‘귀하의 사이트에도 무료로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푸허허허!!!

진짜 뭐라 해야할지.

아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