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돈을 벌어보자: 마케팅(8) 전시 이벤트 [만화규장각 칼럼]

!@#… 게재본은 여기로. 아무래도 내용상 사진을 좀 같이 보는 것이 좋은 관계로, 그쪽도 한번 클릭하시길. 원래 만화전시의 노하우에 관해서는 예전부터 좀 더 본격적인 이야기를 정리해두고자 했으나(특히 미학적 개념설정이 아니라, “관람경험”을 중심에 놓는 전시기획에 대해서), 참 기회가 어째 닿지 않고 있다. 뭐, 어쩔 수 없지.

 

만화로 돈을 벌어보자: 마케팅(8) 전시 이벤트

김낙호(만화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00년대 한국만화 추천작 [한겨레esc]

!@#… 한겨레신문 지난주에 나왔던 00년대 한국만화 명작선 기사 “2000년대 한국 만화, ‘타짜’는 누구인가”(클릭)에 대해, Skyjet님이 이런 문의를 해주셨다:

“마지막으로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 각 추천위원이 뽑은 만화가 없네영. 크흑 (…) 개인적으로 @capcold 김낙호 님의 추천작이 참 궁금합니다만. [「장도리」에만 언급.] 좀 알려주시면 … 안 되려나요. OTL”

!@#… 동의. 기사에 각 추천내용을 다 쓰기에는 지면이 부족하겠지만, 평가와 추천의 로데이터는 다른 경로로라도 볼 수 있는 것이 훨씬 좋다. 그런 의미에서 c모의 추천은 여기에 남겨둔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만화로 돈을 벌자: 마케팅(7) 포화도를 생각하기 [만화규장각 칼럼]

!@#… 게재본은 여기로.

만화로 돈을 벌자: 마케팅(7) 포화도를 생각하기

김낙호(만화연구가)

몇 년 전, ‘블루오션’이라는 용어가 엄청나게 인기를 끈 적이 있다. 이미 경쟁 치열한 피바다에 뛰어들어 고생하지 말고, 남들이 건드리지 않은 새로운 푸른 바다를 찾아서 풍덩 뛰어들라는 식의 이미지로 흔히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적용은 당연히 결코 쉽지 않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웹툰의 영화화, 그 매력과 함정에 관하여 [씨네21 761호]

!@#… 지난번에 ‘이끼’ 개봉과 접목하여 씨네21에서 웹툰과 영화로 특집코너를 했는데, 그 중 한 꼭지. 늘 그렇듯 여기는 투고버전임.

 

웹툰의 영화화, 그 매력과 함정에 관하여

김낙호(만화연구가)

영화, 혹은 드라마가 웹툰에 눈독을 들인 것은 웹툰 장르에서 장편 히트작이 탄생한 것과 거의 동시에 시작되었다. 강풀의 ‘순정만화’와 그 후속작들이 발표되는 대로 연이어 영화화 계약이 맺어졌고, 강도하의 ‘위대한 캣츠비’가 드라마로 이어졌다. 원래 일간지 연재에서 시작했지만 웹으로 연재공간을 옮긴 허영만의 ‘식객’ 역시 온라인으로 옮겨온 이후에도 계속 인기를 모아 영화화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제는 붐이 몇 년 지속되면서 그간 성공작과 실패작들이 나온 만큼, 웹툰의 영화화가 단지 화제작이라고 해서 맹목적으로 달려들법한 일시적 유행코드가 아니라 좀 더 차분하게 견주어보고 장단점을 따져볼만한 무언가가 되었음 깨달을 시기가 되었다. 과연 웹툰의 무엇이 영화에 매력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무엇이 영화화 과정에서 난점으로 작용하여 결국 괴작으로 귀결되는가. 사실은 괴작도 일정 정도 만들어지는 것이 악취미적 즐거움을 위해 즐거운 일이기는 하지만, 이왕이면 성공적인 웹툰 원작 영화를 위해 생각해볼만한 몇 가지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뉴 플랫폼과 만화: 해결해야할 이슈 10가지 [만화규장각 1006]

!@#… 만화규장각 매거진 스페셜의 한 꼭지. 늘 그렇듯 디지털 만화 이야기지만 디지털 콘텐츠 일반으로 손쉽게 확장해서 읽는 것이 가능하다(혹 지면 기회가 주어지면 뉴스산업 쪽에 대해서도 이런 걸 하나 써봐야할 것 같다). 각 이슈와 그걸 주로 누가 신경 써야할 몫인지 망라.

 

뉴 플랫폼과 만화: 해결해야할 이슈 10가지

김낙호(만화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