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만화 시장의 경향 [한국만화연감 2010]

!@#… 최근 마침내 정식출간된 2010 한국만화연감(그러니까 2009년의 자료 총람)의 트렌드 개요 챕터에 기여한 원고들 가운데 디지털 만화 시장 관련.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챕터는 이전에 이미 올린 바 있는 디지털만화플랫폼 연구와 내용상 연계지점이 많다. 여튼 만화산업이나 나아가 디지털 콘텐츠 산업 전반에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쯤 일독하시거나 링크 또는 펌 업어가실 법한 내용일 듯 하다.

이외에도 웹만화 창작 이슈, 미국만화시장 관련, 시사만화 등의 토픽을 담당집필했었는데, 차차 하나씩 올릴 예정.

==============

 

디지털만화 시장의 경향, 제작현황과 주요 이슈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트위터 백업 2010년 4월 4주

!@#… 떡밥 단편들의 북마크와 간단멘트 기록용 트위터@capcold, 10년 4월 4주 가운데 새글 알림과 별 첨가 내용 없는 단순 응답 빼고 백업. 가장 인상 깊은 항목을 뽑아 답글로 남겨주시면 감사(예: **번).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정보의 생산을 넘어 정보의 연결을 추구해야 한다 [미디어오늘100421]

!@#… 미디어오늘에 최근 개설된 연재코너 ‘독자칼럼’에 진알시(진실을 알리는 시민) 소개를 거쳐 필진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즉 주간 꼭지를 여럿이 돌아가면서 쓴다는 이야기인데, capcold의 경우 컨셉을 “험난한 미디어환경 속, 어떻게 해야 제 정신인 저널리즘이 안 망하고 제 몫을 할 수 있을까” 쪽으로 잡아봤다. 하지만 주어진 분량은 고작 회당 원고지 4매(…)에, 독자칼럼이라는 속성을 편집진이 의식해서인지 이름 옆 호칭이 미디어연구가 같은 ‘분야’가 아니라 아무런 것도 뭣도 드러내주지 않는 그냥 ‘위스콘신 거주’로 나가더라는 심히 OTL스러운 일이;;; 여튼 첫 회 시작.

 

정보의 생산을 넘어 정보의 연결을 추구해야 한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인터넷실명제 관련 캠페인, 생각의 토막들

!@#…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재미있는 토론행사 캠페인이 트윗상에 제기되고 있어서(해시태그 #515B), 물리적으로 참가불가이지만 그래도 적극 응원하는 의미에서 작은 화두나 몇 토막 풀어놓을까 한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인터넷의 오랜 약속: 진보에게 트위터는 무엇인가 [상상나누기 15호]

!@#… 문화연대 소식지 상상나누기에 기고한 글로, 트위터 특집의 일환인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총론” 꼭지(다른 꼭지들도 함께 읽으실 것을 권장). 대놓고 표피적인 경탄이나 귀신씨나락급 구조변동 낙관론 모두 싫은 분들에게 적합. 이런 식으로 누구의 꿈도 부풀려주지 않고 누구의 속도 시원하게 해주지 않는 글만 쓰다보면, 안그래도 뜸한 미디어쪽 원고 의뢰와 읽고 소문내주시는 독자들이 아예 씨가 마르지 않을까(핫핫).

 

인터넷의 오랜 약속: 진보에게 트위터는 무엇인가

김낙호(미디어연구가)

한국의 IT관련 보도에서 종종 애용하곤 하는 단순한 스펙 중심의 서술로 풀어보자면, 트위터는 실로 보잘 것 없다. 게시판 서비스인데 한번에 140자 밖에 못 쓰고, 바로 리플을 엮지도 못하고, 이미지든 뭐든 외부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곳. 하지만 정작 현실에서는 큰 히트를 치고, 사람들이 모이고, 점점 더 소통창구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왜 트위터인가. 그리고 특히 진보진영이 트위터에 주목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