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CI의 앞날.

!@#… 뭐… 뭐냐. -_-;

특허 8건 주고 대원씨아이 인수…재미 한순갑 박사 설립 美바이오벤처들
[한국경제 2006-02-22 17:46] 

“…한 박사는 이를 통해 현재 만화 등 콘텐츠 중심 기업에서 바이오 벤처기업으로 전환하는 대원씨아이의 공동 대표이사로 선임될 것으로 알려졌다.”

!@#… 이럴땐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 다른 기사들을 봐도, 최소한 바이오 벤처 사업 시작은 기정사실인 듯. 이전에도 분자생물학과 출신이 만화출판사를 차린다든지 미생물학 연구자가 월간 성인 순정만화 잡지를 창간한다든지 하는 것을 목도한 capcold로서는, 뭔가 생물학과 만화 사이에 심오한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상상(망상)의 나래를 펼쳐보게 된다.

 

— Copyleft 2006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위스컨신대 동아시아 연구 강좌에서 한국만화 특강하다.

!@#… 위스콘신대학 Communication Arts 학과의 강인규 선배님이 강의하는 학부생 강좌 East Asian Studies, 한국 대중문화 스페셜. 이번 주 토픽인 ‘한국만화’ 세션을 초청강연. 오랜만에 강단에 선 것으로도 모잘라 영어로 하려니 가히 난이도가 좀 있었음. 뭣보다, 실없는 농담 섞어넣기가 쉽지 않아서…(어디까지 농담으로 받아주고, 어디서부터 모욕으로 받아들일지 아직 가늠하기 어려우니까). 여튼 그래도 적당히 무사히 지나간 듯.

전에 앙굴렘 당시와 마찬가지로, 외국의 초심자들에게 한국만화를 선보이는 capcold식 정석은 한국만화의 역동적이고 다양한 지형을 통째로 던져주는 것. 어안벙벙하게 퍼억 충격을 준 후, 알아서 각자 천천히 수습하면서 관심을 찾든지 깡그리 잊든지 하도록 만드는 방식. 어차피 짜잘하게 대가 몇명 붙잡고 원화나 구경시켜주는 방식은 재미없으니까. 그래서 고작 한 시간 안에, 1) 한국만화의 세계적 맥락. 세계만화권역, 아시아권에서 만화와 망가의 관계 등등 한국만화라는 범주를 이야기하는 이유. 2) 한국에서 만화의 역할, 산업, 장르 등. 3) 사회사와 밀접하게 결부되어온 한국만화 발전사. 4) 한국만화 해외교류의 특성. 5) 덤으로 애니메이션(‘움직이는 만화’) 이야기까지. 너무 정보량이 많아서, 듣고 있어야 했던 학생들에게 약간은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다. 아니 사실은 하나도 안 미안하지만. -_-;

!@#… 강의 녹음은 파일 받고 먼저 들어본 뒤에 공개여부 결정. 즉, 정말 바보같고 버벅댔으면 곧바로 역사의 뒤안길로. 뭐 하지만 PT 파일은 여기 바로 공개하도록 하겠다. 위의 첨부파일 클릭. 당연히 영어지만.

!@#… 한국만화에 대한 깔끔한 영어 자료를 만들어 공개해야겠다는 생각이 한층 더 강해졌다. 콘진이나 만협서 하겠다고 하는 작품 포트폴리오 뭐 그런 것 말고, 그런 곳에서는 (당혹스럽게도) 아직까지도 전혀 신경도 안쓰고 있는 듯한 영역인 말 그대로 ‘한국만화라는 것 자체에 대한 비평적 설명’. 우선 앙굴렘 때 썼던 것들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영문 홈피로 공개를… 하려면 근데 어서 capcold.net 을 정비해야 할텐데. 과연 어느 세월에?

 

— Copyleft 2006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90년대 만화/애니사

(추가: 아래 내용의 확장판 및 다른 시대의 이야기들까지 합쳐서, 2010년 말에 책으로 묶여나온 바 있습니다: 클릭 )

!@#… 한국의 각 문화예술분야의 역사를 10년 단위로 종합하여 집대성한 역작, <한국 예술사대계>. 그 90년대편에 수록된 90년대 만화/애니메이션사. 나중에 소위 ‘정사’ 로 불리울 물건이다(원튼말든). 여튼 최근 오마이뉴스 사건에서도 드러났듯 만화판을 걱정하기 좋아하는 아저씨 아줌마들이 의외로 90년대의 역학에 대해서는 완전히 무지해서, 80년대 기준으로 2000년대를 이야기하는 괴이한 현상들이 난무.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본문을 여기에 공개. 어차피 연구비 형식으로 작업한 것이고 이미 책은 나왔기 때문에 여기 공개하는 것에 문제는 없음. ‘사관’과 ‘자료’로 뒷받침되는 역사 서술을 하고자 했는데, 여튼 당시 지면이 부족해서 참 많은 내용을 오히려 커트. 당연한 이야기지만 본 책에는 도판도 좀 들어가 있으나… 이 황폐한 문자 블로그에서는 문자만 그득.

!@#… 이외에도 90년대 이후 만화판도에 대한 종합적 접근을 더 보시고 싶다면, <만화세계정복>(두고보자 저, 2003)을 보시길. 지금은 나름대로 레어아이템. 자 그럼 마음의 준비를 하시고, 클릭.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한국만화를 걱정하는 사람들을 걱정하다

!@#… 세상에는 어처구니가 참 부족하다. 다음 글은 다른 꼭지들과 조율 후 웹진 두고보자 기획글로 재등장할 예정. 만화언론 ‘만’용 버전도 약간 다른 방식으로 다듬어서 올려야…;; 여튼 우선 capcold블로그 버전으로 구경하시길.

 ————————

한국만화를 걱정하는 사람들을 걱정하다

김낙호(만화연구가)

!@#… 잊을만 하면 다시 나오는, “한국만화 죽었다” 기사가 최근 오마이뉴스에서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망해가는 한국만화계를 분연히 걱정하고 나서는 사람들. 이런 논조, 정겹기까지 하다.  이제는 심지어 만화계의 몰락을 반면교사 삼아 다른 분야에 교훈으로 적용하려는 시도까지. 덕분에 오마이뉴스 사이트에서 무려 대문에 한동안 걸려있기까지 했다고 한다.

!@#… 다른 이야기 더 꺼내기 전에, 먼저 본문 분석부터 들어가자. 원래 남의 글을 토막내서 토 다는 방식의 분석은 전체 맥락을 의도적으로 흐리는 효과가 있어서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한 해당 부분을 ‘인용’만 하는 방식을 취해야 하지만… 거의 전문에 걸쳐서 팩트의 오류가 넘쳐나는 경우는 도저히 어쩔 수 없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2005 세계 두고보자대상 결과 발표

!@#… 만화 웹진 두고보자(http://www.dugoboza.net)에서 선정한 “2005 세계 두고보자대상” 결과 발표. 2005년, 기억해둘 만한 여러 만화에 대한 촌평들. 관심 있는 분들은 클릭. 그 동네 성향이 원래 좀 그래서, 다소 길다. -_-; 원문은 두고보자에서 발표.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신문을 읽지 않는 세상의 시사만화 읽기 [인물과 사상/0512]

!@#… 만화와 저널리즘이라는 일관된 주제에 천착하는 연재물, 월간 <인물과 사상> 2005년 12월호 수록 원고. 아시다시피 격월간으로 기고중. 이 페이스면 내년 말 정도면 단행본 분량이 쌓일지도 (분량만 쌓이면 뭐하나, 아무도 책내자는 욕심이 없는데).

!@#… 1월 중순에 발간 예정인 2월호에는 당연히, 황랩 사건을 바라보았던 여러 만화들의 모습들에 대해서 쓸 예정(시사뒷북에 정신이 멍해지고 멜랑꼴리에 구토를 할뻔했던 경험들을 살려서…).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