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솔직히, 영어로 일반 과목 교육 이야기하는 것은 웃고 넘어갈 만한 정도의 이슈라고 봤다. 비상한 추진력의 이미지가 가져다주는 민폐적 공포 때문에 2010년이라는 구체적인 수치가 좀 불안하기는 하지만, 그런 비효율적이고 비실용적인 거대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사실상 실현 불가능이니까. 하다못해, 대운하와 병행하려면 확실한 예산 부족 사태라도 발생해 줄 것이라고 믿는다(아, 그러면 건강보험과 국민연금도 다 쏟아부을지도! 핫핫). 여튼 그래서 대충 사실 웃고 넘기고 싶었는데… 자꾸 반복되는 멍청한 논거 한 가지가 자꾸 눈에 밟혀서. 바로 “인도인들은 영어가 되기 때문에 세계적 인력시장에서 승승장구한다“는 것. 그래서 역시 영어 잘하는 것이 킹왕짱.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Category Archives: 잡상사전
시위라는 소통행위에 관한 약간의 생각.
!@#… 요새 테이저건을 도입해서 폴리스라인을 넘어서면 전기로 지진다는 식의 이야기 때문에, 블로고스피어 일각에서 무려 시위에 관한 이야기들이 피어나고 있다. 폭력진압을 일으키는 것은 항상 폭력시위니까 닥치고 강경진압하자는 순진발랄한 주장도 있고, 집시법 자체가 가장 큰 문제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여하튼 폭력은 문제라는 타당하지만 일반론적인 이야기도 있고. 이런 류의 주장들이 항상 그렇듯 나름의 진실과 나름의 오버가 섞여있기에, 보통 융통성 있게 접근할 수록 맞는 말이고 강경할수록 틀린 말이 되곤 한다. 폭력시위도 문제고 폭력진압도 문제고 집시법도 문제고 한국의 민주주의도 문제고 다 문제지 어쩌겠나. 결국 중요한 것은 어떤 측면으로 접근해서 그런 것들의 영향을 고려하면서 개선 방향을 잡느냐라는 것일 따름. 당연히, capcold의 경우 그 중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측면으로 약간의 생각. 누가 읽을지는 몰라도.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성인’의 즐김은 돈: 미국의 성인 대중문화 [문화저널 백도씨 0801]
!@#… 퀄리티에 비해 존재감이 바닥을 기는(…그러게 과월호용 웹사이트 만들라고 내가 몇 번을 제안했건만;;;) 타블로이드 판형 문화콘텐츠 잡지 ‘백도씨’의 이번 호의 특집은 무려 성인문화에서 미국 관련 꼭지. 어차피 다른 분들이 에로는 다 커버하겠지 해서 표현보다 내용, 그리고 향유자의 자세에 대한 이야기로 풀어봤다.
‘성인’의 즐김: 미국의 성인 대중문화
김낙호(만화연구가)
솔직히 드러내놓고 이야기하자면, ‘성인’ 대중문화라는 용어는 별로 의미 있는 것이 아니다. 애초부터 대부분의 대중문화는 성인들이 만들어내고 성인들이 향유할 것을 전제로 되어 있고, 미성년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그들의 세부적 취향에 좀 더 맞추어 들어간 청소년 문화, 아동 문화는 여기에 비하면 소수 영역에 불과하니까 말이다. 다만 격한 표현 수위에 있어서 성인에게만 허용된 것들을 어렴풋이 성인용이라고 흔히 일컫을 뿐이다. 하지만 이것은 그다지 유의미한 구분이 아니라서, 표현만 ‘성인용’이지 정작 작품 속의 정서는 온가족용인 경우도 허다하다. 예를 들어 총질과 폭발과 피바다가 쏟아지는 R등급(미국의 ‘성년 보호자 동반시 관람가’ 등급) 액션 호러영화라고 해도, 사실 싸움질 속 성장과 영웅만세의 성장기 청소년 같은 감수성에 가까운 내용을 담아내는 것이 얼마나 많던가. 그런 의미에서 ‘성인용’에 제대로 접근하는 방식은 역시 내용의 측면이다. 성인 수용자들에게나 통할만한 복잡한 구도나 주제 의식 (예를 들어, “인생의 쓴 맛”) 같은 것이 좋은 예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대운하로 문화관광스럽게 돈벌자
!@#… 가끔 메신저로 지구 반대편에서 정치 만담을 나누곤 하는 기린아님과의 대화 가운데 한토막. 대운하로 돈벌기 프로젝트. 부동산 그런 뻔한 거 말고, 정면 승부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과거사 청산의 사업성을 홍보해야 한다
!@#… 이명박 정부(를 준비하는 인수위원회), 과거사 관련 14개 위원회 폐지 예고. 위원회의 역할이나, 그것을 없애겠다는 발상에 대한 정당한 분노야 뭐 다른 분들이 더 잘하실 듯 하니, 약간 다른 관점의 이야기.
!@#… 우선 항상 가장 먼저 신경쓰이는 것은, 그렇다면 과연 그 위원회들을 없애려는 이들은 무슨 논리로 없애려고 하는 것인지에 대한 파악. 속마음이야 어떻든 간에, 설마 “우리가 조낸 구린 게 많아서 증거인멸하고 싶거덩” 그러겠나. 우선 가장 먼저 부각되는 명목이야 “과거사에 얽매일 것이 아니라 앞날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도 있겠지만, 그것은 도덕적/철학적 차원의 이야기라서 굳이 겨우겨우 만들어내서 현재 굴러가고 있는 위원회를 없애자고 주장해야할만한 근거가 되어주기는 힘들다. 도덕적 차원의 이야기라면 과거사 청산하자, 라는 이야기가 명분상의 우위에 있기 때문에 백전구십승이다.
그렇다면 사실 없애자는 측에서 내세울 수 있는 명분은 하나로 압축된다. 바로, 그런 사업 그런 조직과 사업방식에 국가 예산을 낭비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라는 이야기.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고교등급제에 그런 심오한 교육적 뜻이 있었다니
!@#… 대운하다 건강보험이다 MBC를 좌시하지 않기다 뭐다 어디를 먼저 뒤집을지 많은 단서들이 있었지만, 가장 먼저 구체화된 것은 결국 대입제도.
기여입학제 빼곤 ‘대입 3불제’ 사실상 깨져
조선일보 2008-01-03 03:16 정성진 기자(…)인수위 관계자는 “우리가 그동안 해온 고교 평준화는 말뿐인 평준화”라며 “앞으로 공부 못하는 학교를 드러나게 해서 더 잘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