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에에… 어디서부터 태클을 걸어야할지 모르겠잖아! (클릭)
(진지하게 읽다가 “새만금지역을 동북아 경제중심도시로 개발”에서 잠시 사고 스톱중)
— Copyleft 2008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 에에에… 어디서부터 태클을 걸어야할지 모르겠잖아! (클릭)
(진지하게 읽다가 “새만금지역을 동북아 경제중심도시로 개발”에서 잠시 사고 스톱중)
— Copyleft 2008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 그들의 천박한 영어 인식을 가지고 놀려먹는 것도 물론 재미있지만, 이번에는 공교육의 영어교육이라는 것 자체에 대한 약간의 사담. 영어를 잘한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은 없이 그저 “영어를 잘하게 한다”는 명제를 지상과제처럼 내놓은 인수위 떡밥을 보면서, 그리고 아마도 그것이 한국사회 일반에 만연한 집합적 교육관의 캐리커쳐일 것이라는 짐작 속에서, 평소 생각해온 한 두가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 결국 예정된 수순은 현실화되었다. ‘일하는 사람들의 희망’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던 원래의 취지를 계속 계승하고자, capcold는 노동자 권익을 최우선 정체성으로 내놓는 당을 지지하고자 한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노동당 안에서 노동자 권익을 중심 의제로 놓은 사람들이 대부분 빠져나가 다른 당을 만든다면, 그들을 지지하는 것이 스스로의 논리에 맞다고 판단. 그렇다면 그들을 새로이 지지하면서 기존의 민주노동당에 대한 지지는 어떻게 할까라는 문제가 남는데, 나는 무엇을 숭배하는 것이든지 간에 종교적 신념이 없고 앞으로도 별반 계획이 없다. 따라서 지지중단은 당연한 수순.
!@#… 새로운 당이 종합선물세트식 진보 같은 패셔너블한 곁가지에 너무 진심으로 빠지지 않고 노동자 이익 대변이라는 본연의 목표에 충실하기를 바랄 따름. 당신들이 해야할 ‘기능’을 항상 의식해주기를 바랍니다. 오버는 패망의 지름길. 그리고 이왕 이렇게 되었으면, 한 달 이내로 모든 상황을 정리하시고 냉큼 총선모드로 들어가시길. 시간, 무척 없음.
— Copyleft 2008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
!@#… 인수위의 영어교육공청회(라고 쓰고 70년대식 애널서킹쑈우라고 읽는다) 기사를 읽고 실로 엄청난 전략에 감동했다. 외래어와 외국어를 구분 못하는 바보가 무려 차기 정부 인수위 수장을 맡고 있다는 좌절은 지나친 단순화다. 그 뒤에는 실로 어마어마한 음모가 도사리고 있는 것.
생각해보자. 진정한 미쿡쉭 발음의 영어표기를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바로 한국어를 규정했던 한계, 한글 표기법의 한계였던 자음-모음 결합구조의 극복이다. 왜, 중학교 국어시간에 배우지 않던가. ‘스트라이크’라고 표기하면 원래 용어에 없었던 ‘으’ 발음들이 마구 들어가서 음절이 늘어난다고. 하지만 영어에서는 strike, 모음은 단 하나의 ‘i’, 즉 1음절 단어. 그렇다. 이런 단어를 한글로 제대로 표기하고 발음하며 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바로…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 미하엘 엔데의 ‘끝없는 이야기’. capcold에게 영향을 준 책 톱10을 뽑으라면 절대 빠지지 않을, 끝없는 깊이를 자랑하는 독일 판타지문학. 바보같은 어린이 영화판으로 나와서 이미지가 좀 구려지기는 했지만. 줄거리는 대충 생략하고, 요새 그냥 한 대목이 머리속에 자꾸 어른거려서 잠시 끄집어내본다.
!@#… 한참 후반부의 이야기: 주인공인 소년 바스티안은 책 속에 존재하는 판타지엔이라는 환상세계에 들어가버리게 된다. 그런데 그 곳에 간 현실세계의 사람들은 소원을 빌면 그것이 실현이 되기 때문에, 바스티안은 일종의 절대자로서 모험을 즐기고 다녔다. 문제는 소원이 실현되면 그 댓가로 현실의 기억을 하나씩 잃어버린다는 것. 그리고 모든 기억을 잃고 나면 더 이상 소원을 빌 수 없다(소원은 현실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데 알고보니, 바스티안 이전에 있던 수많은 이들이 이곳에서 황제처럼 살며 소원을 남발하다가 결국 기억을 잃고, 상상계의 폐인이자 자아를 잃어버린 광인으로 어느 도시에 모여서 살고 있었다. 원래는 이름없는 도시지만, 속칭 “옛 황제들의 도시”라고 불리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 굳이 다시 이야기를 꺼낼 필요도 없겠지만, 정부와 거대언론재벌 블록이라는 막강한 미디어스핀 복합체 짝짜쿵 쑈에 맞서기 위한 담론 전략들이 절실한 5년간이 한국 사회의 앞에 펼쳐져 있다. 미디어의 기술적 기반이야 인터넷도 있고 블로고스피어도 큼지막하고 원하면 찌라시도 막 뿌리고 할 수 있다고는 쳐도, 문제는 담론전략이다. 스핀닥터들의 술수에 말려들지 않고 제정신인 담론을 보급하고 싶다면 어찌되었든 너도나도 분노의 토로보다는 좀 더 효과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분야의 가장 고전적인 모범 전략, 일종의 운동판 손자병법인 알린스키Alinsky의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들 Rules for Radicals’을 살짝 다시 들춰보게 된다. 국내에는 베르베르의 책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에서 소개한 10개 항목 버전이 주로 퍼져있지만, 여기서 들추는 것은 71년 출간되었던 알린스키의 책에 나온 완성판인 13개 조항 버전.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