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3.0을 좀 보고 싶다 [한겨레 칼럼 20140302]

!@#… 한번도 한겨레 섹션메인이나 전체메인에 올라오지 않은, 마이너 필자의 마이너한 칼럼은 계속된다. 이번에도 막 친절한 정부 응원모드(아닌가?). 본문에 친절하게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2.0 수사법에 대한 이야기는 사실은 각종 ‘포스트-‘ 사조든 ‘새정치’ 간판이든 여러가지로 대입이 가능하다. 게재본은 여기로. 보다시피, 12.61RC 같은 소소한(혹은 회심의) 개그가 매니악하다고 편집당해버렸다는 비극이 전설처럼 전해지곤 한다.

 

정부3.0을 좀 보고 싶다

김낙호(미디어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개념온라인용 신기술 잡상: 평판 태깅

!@#… 가끔은, 개념 넘치는 온라인을 위한 법적, 규범적, 시장적 접근 말고 기술적 요소들에 대해서도 잡상(레식교수의 모델이 지니는 포괄적 명료함은 동경의 대상이다).

!@#… 맛있는 떡밥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종종 가보곤 하는 이글루스 이오공감이 좀 난리다. 가입 연령제한을 18세에서 14세로 내린다니까 난리난 사용자들의 불만 대폭발 덕분이다. 나름대로 듣보잡 난리통보다는 정돈된 분위기(좀 멋지게 말하면 “1인미디어로서의 정보 신뢰성 등 담론 소통 가치가 높은”)를 자부하고는, 그 이유를 초딩 가입금지에서 찾는 이들이 생각보다 무척 많은 듯 한데, 글쎄…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인터넷한겨레, RSS의 저작권과 효용에 관한.

!@#… “RSS에 사용료를 요구하는 인터넷 한겨레“라는, RSS라는 단어를 아는 사람들에게 엄청난 임팩트로 다가로는 포스트가 이쪽 사람들 사이에서 일파만파. 내용인즉슨 위자드닷컴이라는 상업사이트에서 RSS를 기반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국내 언론사 뉴스 위젯이 있는데, 인터넷한겨레 측에서 연락을 해서 당신들은 상업사이트니까 내려달라고 요청했다는 것. 뭐 기본 컨셉은, RSS 기반이라고 할지라도 상업사이트에서 사전 협의 없이 자사 기사목록을 자동추출 대량제공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라는 것. 물론 그 입장은 인터넷한겨레가 아니라 온라인신문협의회(온신협)의 명문화된 공식입장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뭐 이유야 어찌 되었건 간에, 결과적으로는 RSS를 자유롭게 쓰는 데에 무려 돈을 내라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쇼크… 가 일차적 반응이기는 하지만, 사실은 이것은 두 가지 별개의 이야기가 하나의 지점에서 합쳐진 것이다. 하나는 RSS의 저작권 문제라는 재미없는 것, 다른 하나는 언론사의 웹2.0(우웩스러운 표현이지만, 더 나은 것이 없다…-_-;) 시대의 미디어 전략 문제라는 약간 재미있는 것. 각각 살짝 건드려보자.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타임지 ‘올해의 인물’의 실수와 웹2.0의 본질을 생각하다

!@#… YouTube 플레이어를 형상화하고 그 속에 은박지로 거울을 만들어놓은 타임지 표지(온라인 판에서는 재현불가라서 그냥 You라고 쓰여있는 화면이지만).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은 바로 ‘당신You’이라는 존재다, 라는 논지. 어차피 인터넷의 세계는 사용자들이 직접 자신들의 콘텐츠를 유통시키며 여기까지 왔지만, 유튜브라는 막강한 동영상 유통 서비스 덕분에 업계로부터 산업적 전망의 주목을 받아서 결국 UCC라는 단어가 횡행한 한 해. 그 2006년을 상징하고자 하는 기발한 발상의 표지. 하지만 뭔가 어색하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었다. 독자의 얼굴을 반사시켜줘야할 스크린 모양 빤짝이가 그리 좋지 않아서? 에이 설마. 그렇게 명백하면 그냥 감안하지, 위화감을 주지는 않는다고. 약간 더 자세히 보다보면… 찾았다. capcold.net 방문객 여러분들은 어떨까.

!@#… 정답: 유튜브 플레이어가 표시하는 동영상 총 재생시간이 20:06이다. 꽝이다. 유튜브는 저작권 침해 가능성과 호스팅 용량 등을 고려해서, 10분 이하 100메가 이하의 동영상만 업로드할 수 있다. 그래서 기를 쓰고 저작권 침해를 하며 드라마나 애니를 올려놓은 인간들은 모두 10분 단위로 쪼갠다. ‘Suzumiya Haruhi ep1 (part1 of 3)’ 뭐 이런 식으로. 아 물론 2006년을 나타내고 싶었다는 의도도 알겠고, 또 이건 유튜브가 아니라 그런 류의 서비스를 총칭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 하지만 누가봐도 유튜브의 인터페이스고, 기사도 전부 유튜브로 도배했는데 어쩌라고. YouTube 쫌 쓴다는 사람치고, 위화감이 안들면 이상한거다. 한복에 게다짝 만큼 이상하고, 장동건 얼굴에 호머심슨의 몸을 이어붙인 것 만큼 이상하다. capcold.net에 화사한 그림이 넘치는 것 만큼 이상하다.

!@#… 그렇다고 오타쿠틱하게 자잘한 오류나 지적하려는 것이 아니다. 타임지가 무려 ‘누구나 참여해서 당신들, 우리들이 핵심이 되는 현상’에 관한 특집을 마련하면서도, 정작 작성자들 자신은 유튜브에 동영상 한번 올려본 적 없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듯 해서 꺼내는 말이다. UCC니 웹2.0이니를 설파하면서도, 자신들은 여전히 그 현상의 바깥에 있기에 나올 수 있는 상징적인 ‘간과’로 느껴졌다.

!@#.. 사실 이런 식의 문제는 학계, 특히 미디어 현상을 다루는 분야에 있다보면 꽤 자주 마주치게 된다. 스타크에 대한 논문이 포스트모던이니 사회현상이니 각종 학문적 개념이 난무하지만, 종족과 유닛간 파워밸런스에서 나오는 미묘한 균형과 견제의 재미가 바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것이라는 매력요소에 대해서는 아무런 개념이 없어서 뭔가 글이 비어있다든지. 블로그 현상에 대한 분석논문을 표방하면서,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메인으로 다룬다든지. 안에 들어가서 본질을 캐내보려 하기보다는, 바깥에서 관찰하고 뭔가를 목격할 수 있기만을 바라기 때문에 생기는 위화감. 단순히 ‘피상적’이라는 말로는 설명될 수 없는, 사회과학의 ‘객관’ 개념이 가지고 있는 꽤 근본적인 한계. 그 길 위에 있는 capcold에게 있어서도 항상 고민거리다.

!@#… 아이러니컬하게도, 웹2.0이니 UCC니 하는 열풍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은 그런 식의 관찰자적 객관이 아니라, 무수한 참여적 주관의 통일되지 않은 집합에 의한 새로운 가치체계의 창출이다. 그렇다고 해서 주관이 객관이 되는 것은 아니고, 객관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도 아닌 이상한 상태. 안티 엘리티즘이 팽배하면서도 엘리트의 역할은 조금도 감소하지 않은 기묘하게 유동적인 상황의 연속이다. 충분히 많은 대중이 모이면 전문가 못지않게 되는 것이 아니라, 대중 속에 묻혀있는 전문가로서의 기능들이 더 쉽게 소통의 루트를 얻어내는 상태. 에잇, 아직 나도 뭐라고 정리해야할지 잘 모르겠다. 지식으로 밥벌어먹기가 한층 힘들어질 것이라는 한 가지 확실한 점만 빼고는.

— Copyleft 2007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