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대선 추스리기성 잡상 계속.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Tag Archives: 사회과학
인문학 교육의 혁신을 촉구하다 by 리즈 콜먼 [TED 강연]
!@#… 대학들의 인문학 교육 시스템을 기존의 분과학문 틀에서 벗어나 사회적 과제 중심으로 완전히 재설계를 하자는 내용. 이미 베닝턴 대학에서 실제 도입한지 좀 된 실험인데, 학계 전반으로 확장하자는 제안이다. 특히 학계와 현실세계의 연결고리 회복이라는 무척 중요한 발상을 담고 있다. 남기윤님이라는 분께서 자막 작업을 하셨고, TED의 작업 절차상 필요한 리뷰만 capcold가 맡았다. 특히 학계에 대해 뭔가 갑갑해하는 분들(그러니까, 종신고용 확보 이전의 대부분의 학계 종사자들)이라면 널리 공유해 마땅한 중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하는데, 리뷰어가 없어 발간이 되지 않고 있기에 쓱싹 처리.
“쫌 추해도 정밀하게”
!@#… 새로 사이드바에 달아놓은 좌우명 “쫌 추해도 정밀하게”가 무슨 의미인지 문의하신 분이 있어서, 간단 해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intherye님의 리플에서 얻었는데, 원래 있던 비교적 직관적인 좌우명 “I might be wrong, so prove me wrong”(제가 틀렸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틀렸다고 증명해주시길”)과 달리 약간 추가 설명이 필요할 듯 하긴 하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촛불 정국 와중, 생각의 토막들
!@#… 촛불 정국 와중, 집단지성과 담론 속 구라와 야매 판별법과 사회과학과 제도에 관한 생각의 토막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타임지 ‘올해의 인물’의 실수와 웹2.0의 본질을 생각하다
!@#… YouTube 플레이어를 형상화하고 그 속에 은박지로 거울을 만들어놓은 타임지 표지(온라인 판에서는 재현불가라서 그냥 You라고 쓰여있는 화면이지만).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은 바로 ‘당신You’이라는 존재다, 라는 논지. 어차피 인터넷의 세계는 사용자들이 직접 자신들의 콘텐츠를 유통시키며 여기까지 왔지만, 유튜브라는 막강한 동영상 유통 서비스 덕분에 업계로부터 산업적 전망의 주목을 받아서 결국 UCC라는 단어가 횡행한 한 해. 그 2006년을 상징하고자 하는 기발한 발상의 표지. 하지만 뭔가 어색하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었다. 독자의 얼굴을 반사시켜줘야할 스크린 모양 빤짝이가 그리 좋지 않아서? 에이 설마. 그렇게 명백하면 그냥 감안하지, 위화감을 주지는 않는다고. 약간 더 자세히 보다보면… 찾았다. capcold.net 방문객 여러분들은 어떨까.
!@#… 정답: 유튜브 플레이어가 표시하는 동영상 총 재생시간이 20:06이다. 꽝이다. 유튜브는 저작권 침해 가능성과 호스팅 용량 등을 고려해서, 10분 이하 100메가 이하의 동영상만 업로드할 수 있다. 그래서 기를 쓰고 저작권 침해를 하며 드라마나 애니를 올려놓은 인간들은 모두 10분 단위로 쪼갠다. ‘Suzumiya Haruhi ep1 (part1 of 3)’ 뭐 이런 식으로. 아 물론 2006년을 나타내고 싶었다는 의도도 알겠고, 또 이건 유튜브가 아니라 그런 류의 서비스를 총칭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 하지만 누가봐도 유튜브의 인터페이스고, 기사도 전부 유튜브로 도배했는데 어쩌라고. YouTube 쫌 쓴다는 사람치고, 위화감이 안들면 이상한거다. 한복에 게다짝 만큼 이상하고, 장동건 얼굴에 호머심슨의 몸을 이어붙인 것 만큼 이상하다. capcold.net에 화사한 그림이 넘치는 것 만큼 이상하다.
!@#… 그렇다고 오타쿠틱하게 자잘한 오류나 지적하려는 것이 아니다. 타임지가 무려 ‘누구나 참여해서 당신들, 우리들이 핵심이 되는 현상’에 관한 특집을 마련하면서도, 정작 작성자들 자신은 유튜브에 동영상 한번 올려본 적 없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듯 해서 꺼내는 말이다. UCC니 웹2.0이니를 설파하면서도, 자신들은 여전히 그 현상의 바깥에 있기에 나올 수 있는 상징적인 ‘간과’로 느껴졌다.
!@#.. 사실 이런 식의 문제는 학계, 특히 미디어 현상을 다루는 분야에 있다보면 꽤 자주 마주치게 된다. 스타크에 대한 논문이 포스트모던이니 사회현상이니 각종 학문적 개념이 난무하지만, 종족과 유닛간 파워밸런스에서 나오는 미묘한 균형과 견제의 재미가 바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것이라는 매력요소에 대해서는 아무런 개념이 없어서 뭔가 글이 비어있다든지. 블로그 현상에 대한 분석논문을 표방하면서,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메인으로 다룬다든지. 안에 들어가서 본질을 캐내보려 하기보다는, 바깥에서 관찰하고 뭔가를 목격할 수 있기만을 바라기 때문에 생기는 위화감. 단순히 ‘피상적’이라는 말로는 설명될 수 없는, 사회과학의 ‘객관’ 개념이 가지고 있는 꽤 근본적인 한계. 그 길 위에 있는 capcold에게 있어서도 항상 고민거리다.
!@#… 아이러니컬하게도, 웹2.0이니 UCC니 하는 열풍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은 그런 식의 관찰자적 객관이 아니라, 무수한 참여적 주관의 통일되지 않은 집합에 의한 새로운 가치체계의 창출이다. 그렇다고 해서 주관이 객관이 되는 것은 아니고, 객관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도 아닌 이상한 상태. 안티 엘리티즘이 팽배하면서도 엘리트의 역할은 조금도 감소하지 않은 기묘하게 유동적인 상황의 연속이다. 충분히 많은 대중이 모이면 전문가 못지않게 되는 것이 아니라, 대중 속에 묻혀있는 전문가로서의 기능들이 더 쉽게 소통의 루트를 얻어내는 상태. 에잇, 아직 나도 뭐라고 정리해야할지 잘 모르겠다. 지식으로 밥벌어먹기가 한층 힘들어질 것이라는 한 가지 확실한 점만 빼고는.
— Copyleft 2007 by capcold. 이동/수정/영리 자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