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만화의 세계 [시사인 131호]

!@#… 용산철거민들의 이야기를 다룬 책 ‘내가 살던 용산’을 계기로 르포만화라는 용어가 표면화되고 있는데, 그 일환인 시사인 131호의 특집에 들어간 글. 기사 묶음의 메인 꼭지와 겹치는 관계로 잡지버전에서는 마지막 두 문단 한국을 다루는 부분을 잘라내고 이런저런 축약. 여기야 원고버전이니까 마음껏 풀버전. 기사화 제목은 “르포만화에 퓰리처상을 주는 이유“.

 

르포만화의 세계

김낙호(만화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되돌아보기, 만들어가기 [송채성만화상작품집 ‘성장기’]

!@#… 송채성만화상 당선작 모음집 출간. 책 속성상, 이번 글은 출간후 지연 기간을 따로 두지 않고 원고를 바로 여기에도 공개한다. 많은 이들에게 한번쯤 기억이 남게되기를. [BGM 클릭]

 

 

되돌아보기, 만들어가기

김낙호(만화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허무를 아는 느와르 – 『밝은 미래』[기획회의 265호]

!@#… 하지만 이런 류의 작품은, 아직 완결이 안났을 경우 보통 하나의 불안감이 남는다 – “설마 이러다가 해피엔딩이면 어쩌지?”. 여튼 잡지는 무기휴간에 들어갔으나, 온라인/오프라인의 단행본으로 무사히 마무리되어주길.

 

허무를 아는 느와르 – 『밝은 미래』

김낙호(만화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