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가요의 역사: 테마가 있는 민중가요의 저녁 (행사 스크립트)

!@#… 드라마 ‘응답하라 1994’가 인기리에 방영되던 때에 당대 대학문화에서 사실은 대중문화와 민중문화가 공존하던 모습을 논한 바 있는데, 옛날 자료 틈바구니에서 꽤 재미 있는 옛 학과모임 행사 스크립트를 발견해서 슬쩍 올려본다. 1999년 대동제 무렵에 카페를 빌려서 공연 형식으로 민중가요의 역사를 훑어나간 내용이었는데, 술만 퍼먹는 ‘꽈밤’과 다른 것을 해보자는 일환으로 학과 사람들이 우루루 모아서 진행한 공연(과학생회는 물론이고 학우들 다수의 선곡과 공연 준비, c모는 어쩌다보니 행사 감독, 스크립트 집필은 지금은 네임드 락커가 되어 있는 깜악귀). 오랜만에 다시 봐도 역시 꽤 괜찮은 민중가요 개요고, 당대 문화의 흥미로운 단면.

감상에 필요한 지문 외에는 자잘한 진행 주석들은 삭제했고, 이름들은 비밀은 아니지만 사전 양해를 구한 것도 아니니 우선 비공개 처리. 당시 녹화 테잎 같은게 없는 관계로 유투브 클립으로 삽입.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틈새형 언론매체, 어떻게 먹고 살 것인가 [슬로우뉴스 2주년]

!@#… 편집위원으로 창간 준비 시절부터 참여중인 슬로우뉴스 http://slownews.kr 2주년 기념파티에서 발표한, 틈새형 언론매체의 수익모델에 관한 소고 및 슬뉴의 향후 수익활동 주안점에 관한 제안(당연하게도 슬뉴가 아니라 어떤 중소형 매체 프로젝트라도 대략 적용해볼 수 있는 내용들). 러닝타임은 세상에서 가장 긴 9분.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성찰의 우주 활극 – 스페이스킹 [씨네21 컬쳐하이웨이 /140323]

!@#… 게재본은 여기로. 마치 ‘원펀치맨’이 훌륭한 이야기와 부족한 작화로 제한된 폭의 인기를 끌던 원작이 결국 수려한 작화로 리메이크되며 메이저 인기작으로 재탄생했듯, 이 작품도 그렇게 가면 더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성찰의 우주 활극 – [스페이스킹]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대통령의 한마디에 바뀐 것이 아니다 [한겨레 칼럼/ 140331]

!@#… 게재본은 여기로. 계기와 기반, 즉 주목받는 사건과 운동의 축적에 대한 이야기. 당연하게도, 말미의 축적과 참조를 통한 노하우화 이야기는 진보지식생태계 캠페인과도 연결.

 

대통령의 한마디에 바뀐 것이 아니다

김낙호(미디어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