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 DJ.
RIP. DJ.
!@#… 우리는 우리 의식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꽤 근본적인 회의적 성찰을 제안하는 인지철학자 Dan Dennett의 강연. 철학의 사유방식과 인지과학의 시스템적 탐구를 접목시키는 접근법 자체도 좋은 영감을 준다. 한국어 번역은 컬트적 추종을 누리다가 현재 잠수중이신 intherye님. TED의 작업 절차상 필요한 리뷰만 capcold가 맡았다. 리뷰어가 없어 발간이 되지 않고 있기에 쓱싹 처리. 사람은 스스로 인지하는 것보다 더 멍청할 수 있다는 사상을 신봉하며 잡식성 논증을 좋아하기에 덥썩.
(플레이어에서 view subtitles -> Korean 선택 후 플레이)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 떡밥 단편들의 북마크와 간단멘트 기록용 트위터@capcold, 09년 8월 1주 가운데 새글 알림과 단순 응답 빼고 백업. 평소의 미디어, 만화 이야기 외 주요 떡밥은 쌍용자동차사태, 광화문인공공원 등. 가장 인상깊은 항목을 뽑아 답글로 남겨주시면 감사(예: 9번).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 대학들의 인문학 교육 시스템을 기존의 분과학문 틀에서 벗어나 사회적 과제 중심으로 완전히 재설계를 하자는 내용. 이미 베닝턴 대학에서 실제 도입한지 좀 된 실험인데, 학계 전반으로 확장하자는 제안이다. 특히 학계와 현실세계의 연결고리 회복이라는 무척 중요한 발상을 담고 있다. 남기윤님이라는 분께서 자막 작업을 하셨고, TED의 작업 절차상 필요한 리뷰만 capcold가 맡았다. 특히 학계에 대해 뭔가 갑갑해하는 분들(그러니까, 종신고용 확보 이전의 대부분의 학계 종사자들)이라면 널리 공유해 마땅한 중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하는데, 리뷰어가 없어 발간이 되지 않고 있기에 쓱싹 처리.
!@#… 시속 300km 전력질주의 사회에서, 정신줄을 놓지 않기 위한 핵심 가운데 하나는 겉보기를 넘어선 실제에 대한 판단이다. 그러니까, 알고 보니 훌륭한 넘, 알고보니 못써먹을 넘 뭐 그런 것을 판별하는 것 말이다. 그런데 당연히 그런 판별의 과정에는 온갖 왜곡과 착시가 끼어들어서, 그 착시를 지배하는 자가 우뚝서고 그것에 놀아나는 자가 깔개가 된다. 그런 착시 중 가장 보편적인 것 한가지가 바로… “자이언 효과“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 떡밥 단편들의 북마크와 간단멘트 기록용 트위터@capcold, 09년 7월 첫째주 가운데 새글알림과 대화 응답 빼고 백업.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