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코리아에 인터뷰 떴습니다(추가: 이곳에 미러링). 현실창조공간 리수령님 진행, 당연히 각각 지구 반대편에서 메신저로. 지금껏 해본 인터뷰나 기사용 발언 취재 가운데 가장 원래 한 말(아니 이 경우는 오고 가는 이야기의 흐름이 워낙 좋은 편이라, ‘나눈 대화’)과 격차가 적은, 날 것의 생동감이 잘 살아있는 경우라고 평가합니다. 여튼 1.개인소개, 2.만화이야기, 3.블로그이야기, 4.좀 더 폭넓은 온라인 이야기 등 나름 이 곳의 여러 관심주제를 골고루 담고 있는 살이 되고 피가 되고 뼈가 되는 만담이 펼쳐집니다. 가서 읽고 감동/실망의 눈물을 흘리며, c모가 난감해할 질문들을 리플로 열심히 달아줍시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Category Archives: 만화만담
배트맨의 진정한 완결: Whatever Happened to the Caped Crusader?
!@#… 간만에 순수한 팬보이질 포스팅. 닐 게이먼 글, 앤디 쿠버트 그림의 2부작, ‘Whatever Happened to the Caped Crusader?’ 하편 마침내 (미국)발매! 팬들 사이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져있다시피, 최근의 배트맨 정규 스토리라인이었던 ‘R.I.P’은 브루스 웨인의 ‘죽음’을 다룬 내용이었다(나름대로 빅 이벤트인데, 만화판 바깥에서는 대체로 무관심인데다가 만화판 내부에서도 그러다가 몇 년 뒤 다시 살아나겠지 뭐 투의 밍숭맹숭한 반응이다). 여튼 그것의 마무리를 계기로 그간의 배트맨을 총정리 마침표 찍을 수 있는 결산격 작품을 내겠노라 DC코믹스가 의뢰를 한 것이 바로 ‘샌드맨’으로 유명하며 현대 판타지문학의 블루칩이 되어버린 닐 게이먼. 앨런무어가 비슷한 제목의 작품으로 슈퍼맨 시리즈의 한 시대를 매듭지었듯, 게이먼은 배트맨을 매듭짓는 임무를 받았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만화잡지 영챔프의 웹진 전환 단상
!@#… 소식에 따르면(클릭, 클릭, 클릭, 클릭), 소년만화잡지 영챔프가 온라인 전용으로 전환(뻔한 이야기지만, 종이잡지가 폐간할 때 연착륙하는 방법)한다고 한다. 솔직히 수년 전 ‘영점프’가 폐간될 당시와는 달리 약간 무덤덤하게 느껴지는 것이, 당시 영점프는 새로운 지면 품질 개편을 의욕적으로 실험하고 있던 와중에 몇달만에 명줄이 끊긴 것이지만 이번의 영챔프는 활력을 잃은 지지부진함의 바닥을 기며 수년간 버티다가 수명을 다했다는 느낌이니까.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이야기성과 전문소재 -『오늘의 커피』[기획회의 245호]
!@#… 단행본이 좀 잘 나가면 연재도 재개되고 열심히 나와줄까 하는 희망을 담아 보낸다.
이야기성과 전문소재 -『오늘의 커피』
김낙호(만화연구가)
대중문화에서 전문 소재를 다룬다는 것은 무척 자주 정해진 패턴을 따르곤 한다. 애초에 “90%의 익숙함과 10%의 신선함”으로 폭넓은 대중을 사로잡아야 하는 목표가 있고 전문 소재는 어디까지나 그 10%의 역할을 위한 도구인 만큼, 그럴듯하기는 하되 너무 본질적으로 깊게 들어가는 것도 마찬가지로 금물이다. 그럴듯하지 않으면 사람들에게 새로운 세계를 보여준다는 자극 (또는 지적 허영)을 주지 못하고, 그렇다고 너무 깊게 들어가면 입문교과서가 되어 재미를 잃는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경제가 망해도 살아가기 [팝툰 50호]
!@#… 이렇게 나름 맑고 희망찬 가이드라니, 써놓고 나서 스스로도 깜짝 놀람.
경제가 망해도 살아가기
김낙호(만화연구가)
우리가 원하든 말든, 오늘날 세상은 돈으로 움직인다. 물론 움직이는 방식은 조금씩 달라서 천박한 ‘남들을짓밟고나만잘살면된다주의’를 선택한 사회도 있고 좀 더 함께 잘 살기 위한 장치들을 겹겹이 두고 있는 곳도 있고 그렇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돈으로 움직이는 세상이다 보면 호경기도 불경기도 있고 언젠가는 불운이 찾아올 때도 있다는 점. 그 불운이 상당히 세게 걸리다 보면 경제가 망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차이가 있다면 그런 불운의 순간에 어떻게 잘 견뎌내며 살아가고, 망한 경제 속에서 다시 뛰어오를 발판을 마련하는가의 문제다. 그렇다고 해서 이 칼럼에서 무일푼으로 10억 벌기 필살 팁을 건내 줄 리는 없고(그런 것이 있으면 이미 직접 하고 있겠지), 여하튼 잘 버티기 위한 몇 가지 원칙 정도는 뽑아볼 수 있다. 살림이 쫄딱 망한 어떤 대가족의 미소년 고등학생 가장이 겪는 좌충우돌 코미디, 『타로이야기』라는 만화를 가이드 삼아서 말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이야기의 이야기 – 『샌드맨』[기획회의 244호]
!@#… 샌드맨 시리즈 한국어판을 나름대로 오매불망 기다려왔던 터라(최소한 현문에서 2001년 무렵에 출간 검토하고 있었을 때부터), 나오고 난 후 따로 소개하지 않을 리 없다는 것이야 당연. 다만 좀 더 커버스토리스러운 지면으로 다루어져 마땅한 작품이건만, 어째 미디어의 관심이 의아할 정도로 소극적인 느낌(역시 헐리웃 블록버스터 영화로 만들어야만 관심 1그램인가, 아니면 출판사의 이슈메이킹 능력이 약한 것인가). 작가 닐 게이먼에 대해서는 이전 월간 판타스틱 글 참조.
이야기의 이야기 – 『샌드맨』
김낙호(만화연구가)
도대체 인간이라는 종이 다른 동물보다 나은 것이 무엇이냐는 철학적 질문에 대해서, 수많은 이들이 나름대로 대답을 내놓곤 했다. 어떤 이들은 다른 존재에 감정이입을 하는 능력을 꼽아서, 그 발상은 흐르고 흘러 『블레이드런너』에 이르렀다. 다른 이들은 좀 더 편하게 사랑이니 도덕이니 하는 것을 운운하며 휴머니즘을 부르짖고는 한다. 필자의 경우, 인간의 특징이라면 바로 이야기를 전달한다는 것에 있다고 본다. 이야기의 전달에는 언어적 소통이 있고, 체험하지 않은 것을 체험시켜주는 이입과 상상력이 있으며, 이야기와 그것을 만드는 이야기꾼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가 들어가고, 현실이 나아갔으면 하는 방향에 대한 구체적 혹은 헐렁한 희망과 상상이 들어간다. 이야기는 가장 근원적인 인간 특유의 활동이며 사회와 문명을 구축하는 벽돌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