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단상.

!@#… 원래는 VOD 출시되자마자 구매하여 반복 관람했으나, 미국 개봉 후 극장 관람까지 하고 써보는 우주명작 [기생충]에 관한 몇가지 무순위 단상. 온갖 영화평들, 관련 토론들이 한국에서는 이미 개봉 초기에 다 이뤄졌으므로, 이미 누군가 어디선가 했을법한 이야기들. 이야기 전체를 다루므로, 당연히 스포일러 만발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큰 이야기와 작은 이야기를 묶는 영원의 흐름 – ‘불새’ [기획회의 296호]

!@#… 나온 후 얼마 안 지나 절판되고, 5년마다 재발매되는 이 작품이야말로 부활과 윤회의 ‘불새’가 아닐까 하는 뻘생각이 0.5초동안 들었다.

 

큰 이야기와 작은 이야기를 묶는 영원의 흐름 – [불새]

김낙호(만화연구가)

원래 책을 소개하는 지면이 가장 빛나는 순간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더 널리 그리고 깊게 읽혀질 가치가 있는 작품들을 설득력 있게 설명해낼 때다. 하지만 어쩌다가 한번씩은 정반대의 작업도 필요하다. 이미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충분히 걸작이라고 알려져 있고 여러 ‘명작 소개’ 지면에서도 종종 출몰하지만, 그래도 소개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바로 오랜만에 다시 구해볼 기회가 생겼을 때 말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우리시대의 새로운 고전 10선 [BRUT 4호]

!@#… KT&G 상상마당의 문화잡지 BRUT 4호 특집, “우리 시대의 새로운 고전“. 여러 분야의 필진들에게 70년 이후의 책 가운데 ‘고전’으로 꼽을 만한 것 10편과 간단한 이유를 추천받아 취합했는데, 그 중 한 명으로 참여. 그런데 개인적 기준으로 고전이라고 칭할 정도라면, 당대의 정수를 반영하고 또한 넘어서는 확실한 비전을 제공하며, 이후의 ‘판’을 바꿀 만한 위력을 보여준 저서들이어야 한다. 그리고 역시 자신이 어느 정도 아는 분야에 대해서만 한정지어야 한다(송충이가 솔잎이라면 모를까, 최고의 포와그라를 추천할 수는 없으니까). 따라서 capcold의 경우는 미디어의 사회적 힘, 그리고 만화라는 두가지에 한정해서 뽑아봤다. 대략 이런 책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디스트릭트 9” 단평.

!@#… “디스트릭트 9” District 9 이라는 저예산 SF영화. 피터잭슨 사단 제작이니, Blomkamp라는 듣보잡 신인감독을 발탁했더니 엎어진 ‘HALO’ 영화판에 대한 설욕이라느니, 뚜껑을 열고 보니 지금 미국 평단과 SF팬들이 뒤집어지고 있는 중이라느니, 남아공 출신 감독이 남아공 무대로 차별을 이야기한다는 화제성 어쩌고 하는 수식어들. 하지만 그 전에, 그냥 기본 설정만 따라가도 뭔가 감이 잡히리라. 설정조차도 스포일러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뭐… 결론으로 점프.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배트맨의 진정한 완결: Whatever Happened to the Caped Crusader?

!@#… 간만에 순수한 팬보이질 포스팅. 닐 게이먼 글, 앤디 쿠버트 그림의 2부작, ‘Whatever Happened to the Caped Crusader?’ 하편 마침내 (미국)발매! 팬들 사이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져있다시피, 최근의 배트맨 정규 스토리라인이었던 ‘R.I.P’은 브루스 웨인의 ‘죽음’을 다룬 내용이었다(나름대로 빅 이벤트인데, 만화판 바깥에서는 대체로 무관심인데다가 만화판 내부에서도 그러다가 몇 년 뒤 다시 살아나겠지 뭐 투의 밍숭맹숭한 반응이다). 여튼 그것의 마무리를 계기로 그간의 배트맨을 총정리 마침표 찍을 수 있는 결산격 작품을 내겠노라 DC코믹스가 의뢰를 한 것이 바로 ‘샌드맨’으로 유명하며 현대 판타지문학의 블루칩이 되어버린 닐 게이먼. 앨런무어가 비슷한 제목의 작품으로 슈퍼맨 시리즈의 한 시대를 매듭지었듯, 게이먼은 배트맨을 매듭짓는 임무를 받았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이야기의 이야기 – 『샌드맨』[기획회의 244호]

!@#… 샌드맨 시리즈 한국어판을 나름대로 오매불망 기다려왔던 터라(최소한 현문에서 2001년 무렵에 출간 검토하고 있었을 때부터), 나오고 난 후 따로 소개하지 않을 리 없다는 것이야 당연. 다만 좀 더 커버스토리스러운 지면으로 다루어져 마땅한 작품이건만, 어째 미디어의 관심이 의아할 정도로 소극적인 느낌(역시 헐리웃 블록버스터 영화로 만들어야만 관심 1그램인가, 아니면 출판사의 이슈메이킹 능력이 약한 것인가). 작가 닐 게이먼에 대해서는 이전 월간 판타스틱 글 참조.

 

이야기의 이야기 – 『샌드맨』

김낙호(만화연구가)

도대체 인간이라는 종이 다른 동물보다 나은 것이 무엇이냐는 철학적 질문에 대해서, 수많은 이들이 나름대로 대답을 내놓곤 했다. 어떤 이들은 다른 존재에 감정이입을 하는 능력을 꼽아서, 그 발상은 흐르고 흘러 『블레이드런너』에 이르렀다. 다른 이들은 좀 더 편하게 사랑이니 도덕이니 하는 것을 운운하며 휴머니즘을 부르짖고는 한다. 필자의 경우, 인간의 특징이라면 바로 이야기를 전달한다는 것에 있다고 본다. 이야기의 전달에는 언어적 소통이 있고, 체험하지 않은 것을 체험시켜주는 이입과 상상력이 있으며, 이야기와 그것을 만드는 이야기꾼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가 들어가고, 현실이 나아갔으면 하는 방향에 대한 구체적 혹은 헐렁한 희망과 상상이 들어간다. 이야기는 가장 근원적인 인간 특유의 활동이며 사회와 문명을 구축하는 벽돌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왓치맨, 슈퍼히어로장르를 재발명하다 [판타스틱 0807]

!@#… 기획회의의 서평 버전에 이어, 지난 판타스틱에 기고한 Watchmen의 만화문화적 맥락 이야기. 본문에도 언급하고 있지만, 이 작품이 미국이 아닌 영국 만화라는 점이 어떻게 이런 작품이 나왔는지 이해하기에 무척 도움이 많이 된다.

 

히어로는 무엇으로부터 사회를 지키는가
– <왓치맨>, 슈퍼히어로장르를 재발명하다

김낙호(만화연구가)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사회를 누구로부터 지키는가 – 『왓치맨』[기획회의 226호]

!@#… 작품이 작품이다보니 여러 지면에서 소개하게 되었고, 기획회의에는 책으로서의 맥락, 판타스틱에는 다른 꼭지들 사이에서 만화문화적 맥락으로 쓰게 된 물건. 민란이 일어나기를 간절히 바라는 듯 하는 압박스러운 정부와 초인을 자처하는 듯한 수장 덕에, 오늘날의 한국에서는 더욱 여러가지 의미로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작품.

사회를 누구로부터 지키는가 – 『왓치맨』

김낙호(만화연구가)

문화권에 따라서 정도 차이는 있지만, 스스로 무장하여 질서를 지킨다는 생각은 오랫동안 큰 미덕으로 칭송되어 왔다. 민병대든 동네 방범이든, 이런 자경단 정신은 자율적 인간이 사회적 몫을 자발적으로 다하며, 나아가 사회 속 타인에 대한 애정까지 보여주는 것으로 쉽게 간주된다. 그 자발성이 지니는 도덕적 훌륭함의 느낌은 확실히 크다. 하지만 사회가 미국 서부 시대의 개척촌이나 나라의 기강이 무너진 임진왜란 한복판이 아니라면, 즉 사회가 나름대로 정의를 강행하는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다면, 자경단 정신을 칭송하는 것은 몇 가지 난점에 봉착한다. 제도의 정의와 개인의 정의의 마찰, 제도 속을 사는 일반인들과 제도를 넘어서는 영웅의 마찰, 공공선의 한도, 불의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 등 끝이 없다. 이런 것은 특히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서도 비록 형태는 다르지만 결코 낯설지 않을만한 문제들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