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만화작가 해외 진출 [한국만화연감 2009]

!@#… 앞선 내용(온라인만화)에 이어 2009 한국만화연감(그러니까 2008년의 자료 총람) 원고 창고대방출. 트렌드 개요 챕터 중 한국 만화작가의 해외진출 관련 부분. 즉 한국만화 해외수출 관련이 아니라, 작가가 해외에서 활동하는 ‘창작’ 분야의 이야기다. 최종 출간버전에는 일부 사례가 추가되어 있으니, 책으로 전체 버전을 읽을 것 추천.

 

창작: 일본 및 해외 진출 작가 현황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설정이라는 참여과정 -『기동전사 건담 1년전쟁사』[기획회의 247호]

!@#… ‘기획회의’의 만화 리뷰 지면에 만화로 되어있지 않은 책을 소개한 첫 케이스이긴 하지만, ‘만화문화’와 떼어놓고는 도저히 성립이 되지 않는 책이다 보니 뭐…;;; 설정의 즐거움이라고 하니, 최근 히트중인 ‘스타트렉 (더 비기닝)’과도 한번 엮어서 생각해볼 구석이 있을 듯.

 

설정이라는 참여과정 -『기동전사 건담 1년전쟁사』

김낙호(만화연구가)

작품을 즐긴다는 것은 종종, 작품에 얼마만큼 참여하는가에 따라 달려있다. 많은 경우 그것은 주인공 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의 형태로 나타나곤 하지만, 때로는 작품 속에 구성된 세계 그 자체에 대한 몰입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현실세계를 그대로 가져오기보다는 작품을 위해 하나의 독창적 시공간을 만들어내는 환타지와 SF 장르의 작품들에서 그런 모습이 보인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한국 온라인 만화 트렌드 [한국만화연감 2009]

!@#… 2009 한국만화연감(그러니까 2008년의 자료 총람)의 트렌드 개요 챕터에 기여한 원고 가운데 온라인 만화 관련. 창작, 제작, 유통 부문으로 나누어진 ‘주요 이슈’ 챕터의 사이사이로 하나씩 들어간 꼭지들을 여기 따로 모아둔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노동력을 수탈당해도 살아가기 [팝툰 51호]

!@#… 팝툰 6월호 개편에 맞추어, 이번이 ‘여하튼 살아가기’ 칼럼 마지막회. 만화와 세상사를 접목시킨다는 컨셉을 이어나가면서 더 큰 재미를 줄 수 있는 새 칼럼 아이디어 모집중.

 

노동력을 수탈당해도 살아가기

김낙호(만화연구가)

굳이 ‘자본론’을 공부하지 않더라도, 하루하루 살다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가지게 되는 의문이 있다 – “내가 과연 내가 일하는 대가를 제대로 받고 있는 건가”. 극소수 운 좋은 이들은 일보다 보상이 훨씬 많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노동과 보상이 얼추 맞아떨어지거나, 숫제 노동보다 보상이 적더라도 자리 자체를 보전하기 위해서 그럭저럭 참고 지낸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만화로 돈을 벌어보자: 마케팅(2) – 전염 마케팅 [만화규장각 칼럼/66호]

!@#… 개인적 사정으로 (안면몰수하고) 상당히 오랫동안 쉬고 있는 연재 칼럼인데, 생각해보니 원고 하나가 아직 여기 백업이 없어서 뒤늦게나마 올림.

 

만화로 돈을 벌어보자: 마케팅(2) – 전염 마케팅

김낙호(만화연구가)

지난 회에 이야기한 ‘대세’는 정의 그 자체에서부터 마케팅의 물량공세를 전제로 한다. 다만 방법에 따라서 누가 물량공세를 퍼붓는가의 차이가 날 따름인데, 잘못하면 업체가 모든 물량공세를 책임지고, 좀 더 현명하다면 최대한 소비자/향유자들에게 공세의 상당 부분을 일임시킨다. 특히 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염 마케팅(viral marketing)이 급격하게 화두로 떠올랐다. 사실 전염 마케팅 자체는 입소문이라는 형식으로 항상 존재해왔고 그것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야 서동요가 만들어지던 시대부터 이어지고 있지만, 각 개인들이 미디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경로가 더욱 다양하고 강력해진 인터넷의 시대(특히 분산화된 네트워크로 특정 지어지는 소위 웹2.0의 시대)야 말로 이 개념의 확고한 가능성들을 실현시켜주고 있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

전염, 구멍, 그리고 명품 성장물 -『블랙홀』[기획회의 246호]

!@#… 하필이면 이번 글을 캡콜닷넷에 백업올리는 시점에, 돼지플루 창궐이라니;;;

 

전염, 구멍, 그리고 명품 성장물 -『블랙홀』

김낙호(만화연구가)

성장은 전염성이다. 흔히 떠올릴 법한 개인이 사회와 부딪히며 차츰 무디어져가고 철이 든다는 식의 그런 관점이 아니라, 어느 한 명의 성장이 특정한 조건을 거치면 주변의 다른 이들에게 전염되고 확산된다는 것이다. 각자의 학창시절들을 떠올려보면 되겠다. 성장에 대한 욕구든 아니면 별반 생각도 없었는데 성장의 길로 내몰리는 것이든, 항상 주변에 누군가가 성장의 모습을 보인 후 압박이 확산되어온 경우가 대부분이다. 성장통을 겪는 또 다른 이들의 사연이 매혹 또는 공포 속에 내 생활에 침투하고, 그 속에서 내 방식의 성장을 겪고 나면 다시금 그것이 다른 이들에게 전파될 것이다. 또래집단 위주로 전염되곤 하는 성장이라는 전염병은, 결국 그 집단 전체가 ‘감염’될 때 즈음 이상하고 예외적인 것이 아니라 지극히 평범한 생활조건이 된다. 심지어 그 성장의 결과로 이전의 시각으로 보자면 무척 괴상한 존재들이 되어 있더라도 말이다.
기왕 이렇게 된 김에 끝까지 읽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