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업 완전 복귀는 아직 반나절쯤 남았지만, 여행가기 전에 써놓고 간 것들은 창고방출. 우선, 지난 호 기획회의 원고.
!@#… 개인적으로는 이 만화 읽어라/읽지마라고 품평을 해주는 것 보다는, 경향 <펀>의 <만화풍속사>에서 격주로 연재했던 것 같은 컨셉 – 즉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통찰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만화작품을 자연스럽게 소재로 끌어들이는 방식을 더 좋아한다. 그런데 그런 글을 쓰고 있는 지면은 현재 <인물과 사상> 정도 밖에 안 남았는데, 여기는 또 항상 너무 헤비하게 힘들어가서 탈이다. 뭔가 좀 더 가볍게 통통튀는 (고료 나오는) 연재코너가 필요하다. -_-;
==========================
시대극의 장르 오락적 상상력의 해답 – <풍장의 시대>
바람 이불처럼 덮고
화장(化粧)도 해탈(解脫)도 없이
이불 여미듯 바람을 여미고
마지막으로 몸의 피가 다 마를 때까지
바람과 놀게 해다오.
– 황동규 詩 <풍장> 중
예술적 상상력의 특효약이자 대중오락문화의 보고는 바로, 오래된 가치와 새로 들어온 다른 가치들이 어지럽게 충돌하는 시대에 대한 기억이다. 오래된 가치를 지키려는 자와, 새로운 시대에는 새로운 가치가 필요하다며 변혁을 부르짖는 자.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문화가 충돌하고, 사람들의 마음이 부딪히며, 오해와 화해의 다양한 드라마들이 저절로 탄생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속에서 정반합 작용에 의하여 잉태되는 무언가 또다시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통하여 시대의 희망을 볼 수 있는 단서까지. 이야기 예술을 만들어냄에 있어서 이것보다 더 확실한 공식이 어디 있겠는가. 이런 면에서 보자면 한국이라는 곳의 역사, 특히 근현대사는 완전히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다. 민주화 시민세력과 독재세력, 인권을 부르짖는 노동자와 개발 자본가의 충돌, 이념을 빙자한 무의미한 동족상잔인 한국전쟁, 일제의 압제와 한국의 독립의지 등, 숱하게 사용되고 또 사용되어온 배경 소재들이다.
그런데 항상 의외로 별로 많이 활용되지 못한, 또는 그다지 크게 부각되지 않았던 시대가 바로 그 직전에 있었다. 그 시대가 바로 ‘개화기’인데, 전통문화와 서구적인 가치, 신분제도의 극복을 위시한 내부적 근대화를 꾀하는 내부와, 외부로부터의 근대화를 통해서 식민지배의 야욕을 품는 외세의 가치충돌이 부글거리던 역사의 단편이다. 본격적인 전쟁 또는 식민지화 등으로 파국을 맞이하기 이전, 복합적인 긴장관계가 팽팽하던 시절 말이다. 실제로 이웃나라 일본만 하더라도, 이러한 개화기 시절의 긴장이 가장 인기 있는 소재 가운데 하나다. 메이지 유신 직전을 무대로 하여 신센구미(신선조)니, 유신지사니, 사카모토 료마니 하는 키워드들이 무척이나 친숙하다. 그에 비해서 사실 한국에서는 이 시기가 아쉽게도 그렇게 활발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아마 실제 역사상의 개화기가, 일제에 의한 식민 지배라는 최악의 비극으로 끝났기 때문에 생기는 엄숙한 조심성 때문이리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소재의 매력이 떨어지는 것은 전혀 아니다. 오히려 그 결말을 알기에 시대를 치열하게 살아간 사람들의 모험을 더욱 강렬하게 그려낼 수도 있지 않는가. 그것을 증명해주는 최근 작품이 바로 <풍장의 시대(가리 글/이성규 그림, 대원CI>다. 이 작품은 시골의 양반 소년 목이가 십이지 수호신의 보호를 받으며 상경,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로 이어지는 개화기의 여러 사건들을 겪게 되는 내용이다. 현재 격주간 <영챔프>에서 연재중이며 아직 단행본으로 2권까지 밖에 진도가 나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녹록치 않은 구도들이 여럿 드러나고 있다. 동양과 서양, 기계와 자연, 그리고 일본의 영적 가치와 한국의 영적 가치를 주요 축으로 하여 이미 독자들을 완전히 끌어들이고 있다.
소재의 힘이라는 것은 강력하다. 시골 양반 자제인 주인공이, 시천의 하늘을 기억하는 선택받은 영혼이며 십이지신의 수호를 받는다는 설정은 그 자체만 놓고 보더라도 쓸만한 소년 모험만화의 기본 구도를 품고 있다. 그런데 그 주인공이 혼과 백의 균형이 깨져가는 개화기를 살아나가며 이상한 일들을 극복해내야 한다면, 흔한 모험물과는 다른 차원의 재미가 저절로 더해지는 것이다. 십이지신이라는 존재들 역시 마찬가지다. 단지 다양한 미소년 미소녀 캐릭터들이 초능력을 부리며 주인공을 수호해주는 것으로 설정하기만 해도 소년만화 장르의 기본공식을 충족시켜준다. 하지만 그들이 영적 격변기를 살아나가야 하는 입장이고, 돼지머리와 술과 담배에 욕심을 내는 지극히 한국 무속적인 속성을 지닌 정감어린 신들이라면 이야기는 새로운 독창성을 부여받는다. 품격과 재미를 겸비한 대중오락물을 위한 모범적인 접근인 셈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그렇게 선택한 소재들을 제대로 작품으로서 요리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훌륭한 설정과 재앙스러운 전개로 독자들을 경악시킨 작품이 어디 한 두 가지겠는가. 다행히도, <풍장의 시대>의 작가 콤비는 무리하지 않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요령을 터득하고 있는 듯 하다. 수호신들은 정체불명의 무협기술을 외우며 하늘을 날라다니는 과장법보다는 투박한 돌격을 구사하고, 주인공은 실눈에다가 땅딸막한 꼬마다. 격투질에 집착하기보다는 시대의 충돌을 보여주는 것에 집중하는 사건 전개, 어설픈 무게잡기 보다는 세심한 내면묘사와 캐릭터구축에 힘쓰는 접근이 바로 이 작품의 우수성을 지탱해주는 생명줄이다.
분명히 <풍장의 시대>는 비교적 신인급인 작가들의 경력에 비하자면 놀랄 정도로 원숙하다. 하지만 원숙함은 때로는 독이 될 수도 있기에, 조심해야할 필요가 있다. 원수간 장르적 상상력이 쉽게 빠져들어갈 수 있는 길들, 즉 일본이 한국을 영적으로 지배하려고 한다는 식의 음모론, 대등한 능력의 영능력자간의 일대일 대결, 맥락 없는 로맨스 등으로 대표되는 인스턴트식 흥미유발 요소에 빠져드는 ‘해탈’이 바로 그 위험요소들이다. 그 유혹을 견뎌낼 수 있을 정도로 ‘덜 원숙한’ 자세를 꿋꿋이 유지해주기를 작가들에게 미리 당부하고 싶은 심정이다.
“서양 역사를 모태로 한 서양 판타지를 업어온 일본 서양 판타지를 다시금 주술 등 동양적 소재로 뒤범벅한 일식 퓨전 판타지를 다시 한국에서 적당히 긁어모아온 판타지 세계” 에 매달리는 수많은 만화작품들과는 다른 길을 걷고 있는 이 작품에 박수를 보낸다. 그 길이 훨씬 더 재미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욱 더. 걱정인 것은, 이 작품이 연재중인 <영챔프>가 <그의 나라>(박흥용), <맘보 파라다이스>(윤승기)의 연재중단이라는 과거 경험에서도 볼 수 있듯이 좋은 만화가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지면과는 거리가 꽤 있다는 점이다. 업계 최고 경사 중 하나인 2005년 상반기 <오늘의 우리만화>상을 탔음에도 불구하고, 시상식에 출판사 사람이 작가들 기념사진 찍을 때 꽃다발 하나 안겨주지 않았다는 점을 볼 때 이 불안은 언제 사실로 바뀔지 모른다. <풍장의 시대>가 출판사의 방만함으로 이나여 억지로 풍장을 당하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
(격주간 <기획회의>. 한국출판마케팅 연구소 발간. 이전에는 ‘송인통신’이었던 출판 전문저널. 여기에 쓰는 글에서는 ‘책’이라는 개념으로 최대한 접근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과야 어찌되었든.)
—- Copyleft 2005 by capcold. 이동자유/동의없는개작불허/영리불허 —-